진행중

전등사 대웅보전 신중도

Heritage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3년 5월 10일 (수) 15:22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전등사 대웅보전 신중도
전등사 대웅보전 신중도,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전등사 대웅보전 신중도
한자 傳燈寺 大雄寶殿 神衆圖
주소 인천광역시 강화군 전등사로 37-41
지정번호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 제81호
지정일 2022년 07월 18일
분류 유물 / 불교회화 / 탱화 / 기타
소유자 대한불교조계종 전등사
관리자 인천광역시 강화군청
시대 조선시대 후기
수량/면적 1폭(가로 295㎝, 세로 200㎝)
웹사이트 전등사 대웅보전 신중도,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신중은 불교를 수호하는 여러 수호신이다. 신중을 그린 그림이 신중도이다. 신중도는 경전에 보이는 인도의 토속신과 중국에서 수용된 도교의 신, 한국의 산신 등 불법을 수호하는 호법선신(護法善神)의 그림으로 18세기 후반부터 많이 그려졌다. 전등사 대웅보전 안 오른쪽 신중단에 봉안된 신중도는 축연의 작품으로 예적금강이 그려져 있다.

예적금강은 악과 더러움을 제거하는 위력을 가진 신으로 세 개의 얼굴과 위로 치솟은 머리카락, 여덟 개의 팔을 가지고 있으며 이빨을 드러내고 분노하는 모습을 하고 있다.

전등사 대웅보전 신중도는 신중들의 얼굴과 신체, 옷 주름인 의습 표현에 음영법을 구사하여 사실적인 느낌이 들며 친근한 모습으로 표현되었다. 이러한 음영법은 근대적인 방법으로 근대기 불화를 연구하는 데에 중요한 자산이며 보존 상태도 비교적 양호하여 문화재적 가치가 있다.

영문

영문 해설 내용

이 불화는 부처의 가르침을 지키는 여러 수호신을 그린 그림이다. 이와 같은 불화는 18세기 후반부터 많이 제작되었으며, 불전에 모셔 불전을 수호하는 역할을 한다.

전등사 대웅보전 안 오른쪽 불단에 모셔진 신중도는 20세기에 승려 축연이 그렸다. 그림 중앙에는 예적금강*이 그려져 있다. 예적금강은 악과 더러움을 제거하는 위력을 가진 신으로 세 개의 얼굴과 위로 치솟은 머리카락, 여덟 개의 팔을 가지고 있으며 이빨을 드러내고 분노하는 모습을 하고 있다. 예적금강의 양옆에는 불교에 수용되어 수호신으로 여겨지는 인도의 토속신, 도교의 신, 한국의 산신 등이 그려져 있다.

이 신중도는 보존 상태가 비교적 양호하며, 신중들의 얼굴과 신체, 옷 주름 표현에 음영법을 구사하여 사실적으로 표현하였다. 이러한 음영법은 20세기 불화를 연구하는 데에 중요한 자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