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완주 대각사 금강경천로해정진주"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영문)
35번째 줄: 35번째 줄:
  
 
===영문===
 
===영문===
 +
'''Vajracchedika prajnaparamita Sutra (The Diamond Sutra) of Daegaksa Temple, Wanju'''
  
 +
The Diamond Sutra is one of the most widely circulated Buddhist scriptures in Korea and is a basis for of Korean School of Mahayana Buddhism.
  
 +
This copy of the Diamond Sutra kept at Daegaksa Temple comprises a classical Chinese translation done by the Indian monk Kumarajiva (344-413) and an annotation added by the Song dynasty (960-1279) scholar Zheng Zhen*. Nowhere else in East Asia, a copy of the Diamond Sutra featuring this particular translation and annotation has been found. It is a woodblock-printed copy published in 1426 at Mujuam Hermitage of Jangsusan Mountain in Gyeongsang-do Province.
  
 +
The copy is overall in good condition and recently underwent renovation of the damaged parts and rebinding.
 +
 +
 +
*Not sure about the romanization. 1199-1262. https://baike.baidu.hk/item/%E9%84%AD%E9%9C%87/17307
  
 
===영문 해설 내용===
 
===영문 해설 내용===

2023년 12월 12일 (화) 23:09 판


완주 대각사 금강경천로해정진주
완주 대각사 금강경천로해정진주,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완주 대각사 금강경천로해정진주
한자 完州 大覺寺 金剛經川老解鄭震註
지정번호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269호
지정일 2020년 7월 31일
시대 조선시대
수량/면적 1책
웹사이트 완주 대각사 금강경천로해정진주,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금강반야바라밀경(금강경)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널리 유통되는 대표적인 불교 경전으로 대승불교의 근본을 이루고 있다.

완주 대각사 금강경천로해정진주는 인도의 승려 구마라집(344~413)이 한문으로 번역한 금강경을 송나라 승려인 천로(야보도천 冶父道川)가 주해와 게송을 달고, 송나라 학자인 정진이 추가로 주해한 합주본이다. 이 합주본은 1426년(세종 8년) 경상도 장수산에 소재한 무주암(無住庵)에서 유일하게 간행한 목판본으로 간행 연대와 간행 사찰이 명확하고, 동아시아 어디에서도 확인된 바 없어 매우 희귀한 자료이다.

완주 대각사 금강경천로해정진주는 복장 유물로 있다 근래 다시 제책하였고, 일부 훼손된 부분을 보수하여 전체적으로 온전한 상태를 보이고 있다.


  • 게송: 불교계에서 불교적 교리를 담은 한시의 한 형태
  • 주해: 본문의 뜻을 알기 쉽게 풀이함
  • 제책: 인쇄된 낱장 종이를 순서대로 추려 책으로 만드는 일

영문

Vajracchedika prajnaparamita Sutra (The Diamond Sutra) of Daegaksa Temple, Wanju

The Diamond Sutra is one of the most widely circulated Buddhist scriptures in Korea and is a basis for of Korean School of Mahayana Buddhism.

This copy of the Diamond Sutra kept at Daegaksa Temple comprises a classical Chinese translation done by the Indian monk Kumarajiva (344-413) and an annotation added by the Song dynasty (960-1279) scholar Zheng Zhen*. Nowhere else in East Asia, a copy of the Diamond Sutra featuring this particular translation and annotation has been found. It is a woodblock-printed copy published in 1426 at Mujuam Hermitage of Jangsusan Mountain in Gyeongsang-do Province.

The copy is overall in good condition and recently underwent renovation of the damaged parts and rebinding.


영문 해설 내용

『금강반야바라밀경』은 한국에서 가장 널리 유통되는 대표적인 불교 경전으로 대승불교의 근본을 이룬다.

대각사가 소장한 이 금강경은 인도의 승려 구마라집(344-413)이 한문으로 번역한 것을 송나라 승려인 천로(川老)가 주해하고 송나라 학자인 정진(鄭震)이 추가로 주해하여 합한 책이다. 두 사람의 주해가 합쳐진 금강경은 동아시아 어디에서도 확인된 바 없어 매우 희귀한 자료이다. 1426년 경상도 장수산의 무주암에서 간행한 목판본으로, 간행 연대와 간행 사찰이 명확하다.

일부 훼손된 부분을 최근에 보수하고 새로 제책하여 전체적으로 상태가 양호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