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여수 흥국사 삼장보살도

HeritageWiki
이슬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0년 4월 28일 (화) 03:06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여수 흥국사 삼장보살도
작성자 cds9494, 여수 흥국사 삼장보살도, cds9494님의 블로그, 네이버 블로그.
대표명칭 여수 흥국사 삼장보살도
한자 麗水 興國寺 三藏菩薩圖
주소 전라남도 여수시 중흥동 흥국사길 160
지정번호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299호
지정일 2009년 3월 20일
분류 유물/불교회화/탱화/보살도
시대 조선시대
수량/면적 2폭
웹사이트 여수 흥국사 삼장보살도,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기존 국문

흥국사는 18세기 전반에 대대적인 중수 불사를 하면서 당시 대표적인 화승 의겸을 모시고 많은 불화 불사를 진행하였다. 이 작품은 의겸의 제자들이 1741년에 제작하여 시기도 빠르고 작품의 질도 우수하며, 또한 보존 상태도 양호하다. 전체적인 색감과 화면구성, 각 군중의 표현 등에서 융성한 흥국사의 일면을 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수정 국문

초고

이 그림은 각각 천상과 지상, 지하를 담당하는 천장보살(天藏菩薩), 지지보살(持地菩薩), 지장보살(地藏菩薩)과 그 권속을 그린 것이다. 1741년 궁척을 포함한 의겸의 제자들이 제작하였다.

이 그림은 천장·지지보살도와 지장보살도로 나누어 2폭으로 조성되었다. 화면의 중앙에 천장보살이, 왼쪽에 지지보살이, 오른쪽에 지장보살이 주위에 여러 권속들을 거느리고 있는 모습이다.

죽은 자의 영혼을 천도하는 의식인 수륙재와 관련 있는 불화로 추정되며, 한국의 전통사상인 천지인(天地人)이 결합된 것으로 보인다.

  • 어디에 소장되어 있는지 확인 필요.
  • 궁척의 그림은 의겸보다는 격이 떨어지지만, 그 화풍을 잘 이어받아 단정한 구도와 안정된 색채, 신비로운 표정과 등장인물의 품위 등이 잘 나타나 있다. 지장보살도는 안정된 구도와 보색대비 등의 효과를 잘 살리는 의겸의 특징이 반영된 반면 천장·지지보살도는 인물들의 개성 있는 얼굴 묘사, 구성의 질서정연함 등 긍척의 개성이 더 구현되고 있다.
  • 일본에 전해지는 16세기 삼장보살도 사례를 제외하고는 국내에 남아있는 작품 중에서는 제작시기도 빠르고 작품도 우수하다. 의겸과 그의 전통을 계승하고 발전시킨 제자들의 화풍을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한 자료로 그 가치가 인정된다.


참고 자료

→ 그림 설명

→ 대표사진 출처. 간단한 설명.

→ ‘삼장보살도’ 정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