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여수 흥국사 삼장보살도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2020 안내문안 초안 작성 지원 사업

기존 국문

흥국사는 18세기 전반에 대대적인 중수 불사를 하면서 당시 대표적인 화승 의겸을 모시고 많은 불화 불사를 진행하였다. 이 작품은 의겸의 제자들이 1741년에 제작하여 시기도 빠르고 작품의 질도 우수하며, 또한 보존 상태도 양호하다. 전체적인 색감과 화면구성, 각 군중의 표현 등에서 융성한 흥국사의 일면을 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수정 국문

초고

이 그림은 각각 천상과 지상, 지하를 담당하는 천장보살(天藏菩薩), 지지보살(持地菩薩), 지장보살(地藏菩薩)과 그 권속을 그린 것이다. 1741년 궁척을 포함한 의겸의 제자들이 제작하였다.

이 그림은 천장·지지보살도와 지장보살도로 나누어 2폭으로 조성되었다. 화면의 중앙에 천장보살이, 왼쪽에 지지보살이, 오른쪽에 지장보살이 주위에 여러 권속들을 거느리고 있는 모습이다.

죽은 자의 영혼을 천도하는 의식인 수륙재와 관련 있는 불화로 추정되며, 한국의 전통사상인 천지인(天地人)이 결합된 것으로 보인다.

  • 어디에 소장되어 있는지 확인 필요.
  • 궁척의 그림은 의겸보다는 격이 떨어지지만, 그 화풍을 잘 이어받아 단정한 구도와 안정된 색채, 신비로운 표정과 등장인물의 품위 등이 잘 나타나 있다. 지장보살도는 안정된 구도와 보색대비 등의 효과를 잘 살리는 의겸의 특징이 반영된 반면 천장·지지보살도는 인물들의 개성 있는 얼굴 묘사, 구성의 질서정연함 등 긍척의 개성이 더 구현되고 있다.
  • 일본에 전해지는 16세기 삼장보살도 사례를 제외하고는 국내에 남아있는 작품 중에서는 제작시기도 빠르고 작품도 우수하다. 의겸과 그의 전통을 계승하고 발전시킨 제자들의 화풍을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한 자료로 그 가치가 인정된다.

1차 수정

천장보살, 지지보살, 지장보살로 이루어진 삼장보살과 그 권속들을 그린 불화이다. 각각 천상과 지상, 지하를 담당한다고 여겨진다.

이 불화는 1741년 궁척을 포함한 의겸의 제자들이 제작하였다. 천장·지지보살도와 지장보살도로 나누어 2폭으로 조성되었으며, 천장보살을 중심으로 왼쪽과 오른쪽에 각각 지지보살과 지장보살이 여러 권속들을 거느리고 있는 모습이다.

국내에 남아있는 삼장보살도 중 제작시기가 비교적 빠르고 작품도 우수하다. 의겸과 그의 전통을 계승하고 발전시킨 제자들의 화풍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자문의견

  1. 분야별 자문위원 1
    • 궁척을 포함한 의겸의 제자들이 -> 궁척스님을 포함한 의겸스님의 제자들이(이하 스님은 이런 식으로 표현했으면 합니다.)
    • 천장·지지보살도와 지장보살도로 나누어 2폭으로 조성되었으며,-> 작품의 구성은 천장·지지보살도와 지장보살도로.....
  2. 분야별 자문위원 2
    • <여수 흥국사 삼장보살도>는 망자의 극락왕생을 기원하는 지장보살 신앙이 천상과 지상, 지하로 확대 해석되어 나타난 불화이다. 화면에 그려지는 3위의 보살은 상계교주(上界敎主)인 천장보살을 중심으로 음부교주(陰府敎主) 지지보살, 유명계교주(幽冥界敎主) 지장보살을 묘사한 것이다. 삼장보살도상은 일찍이 수륙재와 관련되어 새롭게 성립된 도상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수륙재 의궤용 불화로 조성되었을 것으로 추정한다.
    • 이 불화는 1741년 긍척(亘陟)을 비롯한 당대 최고의 화승으로 명성이 높았던 의겸의 제자들에 의해 그려졌다.
    • 3위의 보살을 한 화면에 배치하는 삼장보살도의 일반적인 형태와 달리 이 작품은 천장과 지지보살을 한 화면에 담고 지장보살은 분리하여 따로 마련한 화폭으로 구성한 톡특한 형태를 보인다.
    • <여수 흥국사 삼장보살도>는 현재 국내 소장중인 삼장보살도 가운데 제작시기가 빠르고 작품이 훌륭하다는 사실 뿐만 아니라 제자를 통해 의겸의 화풍이 후대로 전승되고 있음을 살필 수 있다는 점에서 학술적으로도 그 가치가 높다.

2차 수정

천장보살, 지지보살, 지장보살로 이루어진 삼장보살과 그 권속들을 그린 불화이다. 삼장보살은 각각 천상과 지상, 지하를 담당한다.

이 불화는 1741년 긍척(亘陟)을 비롯한 당대 최고의 화승으로 명성이 높았던 의겸(義謙)의 제자들에 의해 그려졌다. 3위의 보살을 한 화면에 배치하는 삼장보살도의 일반적인 형태와 달리, 이 작품은 천장과 지지보살을 한 화면에 담고 지장보살은 분리하여 따로 그린 톡특한 구성을 보인다.

국내에 남아 있는 삼장보살도 중 제작시기가 비교적 빠르고 작품도 우수하다. 또한 제자를 통해 의겸의 화풍이 후대로 전승되고 있음을 살필 수 있다는 점에서 학술적으로도 그 가치가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