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수입리 지석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22번째 줄: 22번째 줄:
  
 
=='''해설문'''==
 
=='''해설문'''==
===기존 국문===
+
===국문===
이 지석묘(고인돌)는 청동기 선사시대의 유적으로 이미 그 시기부터 이 지역에 사람이 집단으로 살았다는 중요한 증거 자료가 된다.
+
지석묘는 청동기시대의 대표적인 거석 구조물로 고인돌이라고도 한다. 유럽, 아프리카, 아시아 등에 분포하고 있으며, 한반도는 세계에서 지석묘가 가장 집중적으로 분포된 지역이다. 무덤 또는 제단으로 쓰인 것으로 추정되며, 생김새에 따라 땅 위에 책상처럼 세우는 탁자식, 큰 돌을 조그만 받침돌로 고이거나 받침돌 없이 평평한 돌을 얹는 바둑판식으로 나뉜다.
  
지석묘는 북방식 지석묘로써 사방에 지석 넷을 맞춰 세우고 위에 상석을 올려 덮는 형식인데, 남북방의 단벽 2개는 없어졌고 장벽의 크기는 동쪽이 212cm x 160cm x 31cm이고 서쪽이 225cm x 90cm x 23cm이다. 상석은 5각형에 가까우며 규모는 330cm x 280cm 두께는 36cm~44cm이고 둘레는 10.25m이며 무게는 약 14톤이다. 묘실의 폭은 80cm, 길이는 170cm 정도이다. 이 같은 지석묘는 역사 문화 인류학 등의 연구에 중요한 증거를 제공하여 아주 귀중한 문화유적이며 문화재 자료이다.
+
수입리 지석묘는 받침돌이 길게 올라와 있는 탁자식 고인돌이다. 마귀 할머니가 머리와 두 손으로 돌을 옮겨 만들었다는 설화가 전한다. 마을 사람들은 ‘괸돌’ 또는 ‘아양 바위[앵 바위]’라 부르고 있다. 덮개돌에는 무엇을 기원하기 위해 만들었다고 추측되는 알구멍[性穴]이 있어, 민간신앙과 연관된 장소로 여겨진다.
  
===수정 국문===
+
포천의 이웃과 연천 일대에는 많은 고인돌이 흩어져 있어, 청동기시대 이 지역에 많은 사람이 살았음을 알 수 있다.  
고인돌은 청동기 시대 사람들이 만든 무덤이다. 받침돌 위에 큰 덮개돌을 고여 놓았다고 하여 고인돌이라 한다. 중국에서는 석붕(石棚) 또는 대석개묘(大石蓋墓)라 하고, 일본에서는 지석묘(支石墓)라 한다. 무덤으로 보지 않고 제사를 지내는 제단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고인돌은 생김새에 따라 땅 위에 책상처럼 세우는 탁자식[북방식], 큰 돌을 조그만 받침돌로 고이거나 받침돌 없이 평평한 돌을 얹는 바둑판식[남방식]으로 나뉜다.
 
  
수입리 고인돌은 받침돌이 길게 올라와 있는 탁자식 고인돌이다. 받침돌 4개로 직사각형 모양의 무덤방을 만들고, 그 안에 시신을 안치하고, 그 위에 판판한 덮개돌을 올려놓아 만들었다. 받침돌 4개 중 앞뒤 짧은 면 두 개의 받침돌은 없어졌다. 고인돌 중에는 덮개돌에 홈구멍[性穴]이 있는 경우가 많은데, 이 고인돌에도 홈구멍 하나가 있다. 홈구멍은 돌 표면을 쪼아서 틀을 만든 다음 나무와 같은 물체를 넣고 계속 비벼 동그랗게 구멍을 판 것이다. 어떠한 이유로 만든 것인지 정확히 알 수는 없지만, 신앙의 행위로 생각된다. 무덤방과 주변에서 껴묻거리는 확인되지 않았다. 그래서 이 고인돌이 만들어진 정확한 시기는 알 수 없다. 수입리 고인돌 외에도 이웃한 포천과 연천 일대에는 많은 고인돌이 있어 청동기 시대 이 지역에 많은 사람이 살았음을 알 수 있다.
 
 
====문맥요소====
 
*수입리 : 소재지
 
*지석묘 : 고인돌의 다른 이름
 
*북방식 : 형태
 
*받침돌 : 구성요소
 
*덮개돌 : 구성요소
 
*홈구멍 : 덮개돌에 있음
 
  
 
===영문===
 
===영문===
46번째 줄: 36번째 줄:
  
  
 +
=='''참고 자료'''==
  
 
[[분류:문화유산해설문]]
 
[[분류:문화유산해설문]]

2020년 6월 29일 (월) 17:28 판


수입리 지석묘
Dolmen in Suip-ri
대표명칭 수입리 지석묘
영문명칭 Dolmen in Suip-ri
한자 水入里 支石墓
주소 경기도 포천시 일동면 수입리 9-6
지정번호 포천시 향토유적 제33호
지정일 1986년 4월 9일
소유자 포천시



해설문

국문

지석묘는 청동기시대의 대표적인 거석 구조물로 고인돌이라고도 한다. 유럽, 아프리카, 아시아 등에 분포하고 있으며, 한반도는 세계에서 지석묘가 가장 집중적으로 분포된 지역이다. 무덤 또는 제단으로 쓰인 것으로 추정되며, 생김새에 따라 땅 위에 책상처럼 세우는 탁자식, 큰 돌을 조그만 받침돌로 고이거나 받침돌 없이 평평한 돌을 얹는 바둑판식으로 나뉜다.

수입리 지석묘는 받침돌이 길게 올라와 있는 탁자식 고인돌이다. 마귀 할머니가 머리와 두 손으로 돌을 옮겨 만들었다는 설화가 전한다. 마을 사람들은 ‘괸돌’ 또는 ‘아양 바위[앵 바위]’라 부르고 있다. 덮개돌에는 무엇을 기원하기 위해 만들었다고 추측되는 알구멍[性穴]이 있어, 민간신앙과 연관된 장소로 여겨진다.

포천의 이웃과 연천 일대에는 많은 고인돌이 흩어져 있어, 청동기시대 이 지역에 많은 사람이 살았음을 알 수 있다.


영문

영문 해설 내용

참고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