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령향교"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문화유산정보
 
|사진=보령향교.jpg
 
|사진=보령향교.jpg
 
|사진출처=[http://aks.ai/GC08800891 보령향교], 디지털보령문화대전, 한국학중앙연구원.
 
|사진출처=[http://aks.ai/GC08800891 보령향교], 디지털보령문화대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대표명칭=보령향교
 
|대표명칭=보령향교
|영문명칭=
+
|영문명칭=Boryeonghyanggyo Local Confucian School
 
|한자=保寧鄕校
 
|한자=保寧鄕校
 
|주소=충청남도 보령시 주포면 향교말길 45 (보령리)
 
|주소=충청남도 보령시 주포면 향교말길 45 (보령리)
35번째 줄: 34번째 줄:
  
 
===영문===
 
===영문===
 +
'''Boryeonghyanggyo Local Confucian School'''
 +
 
A local Confucian school, called ''hyanggyo'' in Korean, is a public education institution of the Goryeo (918-1392) and Joseon (1392-1910) periods. Such schools were established in jurisdictions across the country to serve as a local shrine for Confucius and to promote Confucian education and nurture local elites. Students learned about poetry composition, Confucian Classics, and history.
 
A local Confucian school, called ''hyanggyo'' in Korean, is a public education institution of the Goryeo (918-1392) and Joseon (1392-1910) periods. Such schools were established in jurisdictions across the country to serve as a local shrine for Confucius and to promote Confucian education and nurture local elites. Students learned about poetry composition, Confucian Classics, and history.
  
 +
Boryeonghyanggyo Local Confucian School was established in the early 15th century and has since undergone several renovations. The complex consists of a lecture area in the front, which includes a main gate, two dormitories, and a lecture hall called Myeongnyundang, and a ritual area at the back, which includes an inner gate, a storehouse for ritual vessels, and a shrine called Daeseongjeon. Notably, there is a smaller gate to the right of the main gate, which is regularly used as the entrance.
 +
 +
Daeseongjeon Shrine holds the spirit tablets of five sages and four eminent scholars of China and 18 eminent scholars of Korea. The local Confucian community holds veneration rituals at the shrine each year in the second and the eighth lunar months.
  
 
===영문 해설 내용===
 
===영문 해설 내용===
향교는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의 국립교육기관이다. 이러한 향교들은 전국 각 지역에 설립되어 공자를 모시는 지역 사당의 역할을 하며, 유학을 교육하고 지역의 인재를 양성하는 데 기여하였다. 학생들은 시를 짓는 법과 유교의 경전과 역사를 배웠다.  
+
향교는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의 공공 교육기관이다. 이러한 향교들은 전국 각 지역에 설립되어 공자를 모시는 지역 사당의 역할을 하며, 유학을 교육하고 지역의 인재를 양성하는 데 기여하였다. 학생들은 시를 짓는 법과 유교의 경전과 역사를 배웠다.
  
보령향교는 15세기 초에 세워진 것으로 추정되고, 이후 여러 차례 중수되었다.  
+
보령향교는 15세기 초에 세워진 것으로 추정되고, 이후 여러 차례 중수되었다. 앞쪽에는 정문, 동서재, 명륜당으로 이루어진 교육공간이 있고, 뒤쪽에는 내삼문, 제기고, 대성전으로 이루어진 제향공간이 있다. 정문 오른쪽에는 작은 삼문이 하나 더 있어서 평소 출입하는 데 사용되었다.
  
앞쪽에는 정문, 동서재, 명륜당으로 이루어진 교육공간이 있고, 뒤쪽에는 내삼문, 제기고, 대성전으로 이루어진 제향공간이 있다. 보통 향교에는 삼문 형식의 정문이 하나 세워지는데, 보령향교에는 정문 오른쪽에 작은 삼문이 하나 더 있어서 평소 출입하는 데 사용되었다.  
+
대성전에는 공자를 비롯한 중국의 5성과 4현, 한국의 18현의 위패가 모셔져 있으며, 매년 음력 2월과 8월에 지역 유림들이 제례를 드린다.
  
대성전에는 공자를 비롯한 중국의 5성과 4현, 한국의 18현의 위패가 모셔져 있으며, 매년 음력 2월과 8월에 지역 유림들이 제례를 드린다.
 
  
  

2024년 4월 22일 (월) 14:06 기준 최신판

보령향교
Boryeonghyanggyo Local Confucian School
보령향교, 디지털보령문화대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대표명칭 보령향교
영문명칭 Boryeonghyanggyo Local Confucian School
한자 保寧鄕校
주소 충청남도 보령시 주포면 향교말길 45 (보령리)
지정번호 충청남도 기념물 제112호
지정일 1997년 12월 23일
분류 유적건조물/교육문화/교육기관/향교
시대 조선시대
수량/면적 2,929㎡
웹사이트 보령향교,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향교는 고려·조선시대에 유학을 교육하기 위해 국가가 전국 각지에 설치한 지방의 관학기관이다. 중등교육기관에 해당하는 향교는 유교 예절과 경전을 교육하고 인재를 양성하는 기능을 하였으며, 선성(先聖)과 선현에게 제례를 드리는 공간이기도 하였다. 보령향교의 창건연대에 관한 기록은 찾아볼 수 없지만 조선 초 태종 때 각 지방 군현의 다른 향교들과 함께 세워졌을 것으로 추정한다.

보령향교는 학문 공간인 명륜당이 앞에 오고 제례 공간인 대성전이 뒤에 있는 전학후묘(前學後廟)식의 배치로 외삼문-명륜당-내삼문-대성전으로 이어지는 구조이다. 하마비(下馬碑)와 홍살문을 지나면 삼문(三門) 두 개가 있다. 향교를 바라봤을 때 왼쪽의 삼문은 외삼문(外三門), 오른쪽의 삼문은 평소 출입하는 작은 솟을삼문으로 과거에 수재문(修齋門)이라는 현판이 걸려 있었다. 외삼문을 지나면 정면으로 명륜당이 있고, 양쪽으로는 유생들의 숙소인 동재와 서재가 자리한다. 명륜당 뒤편의 내삼문 안쪽으로는 대성전과 제사 기구를 보관하는 창고인 제기고가 있다. 대성전에는 중국 5성*과 4현**, 우리나라 18현***의 위패를 모시고 있으며, 매년 음력 2월과 8월의 상정일에 지역 유림들이 제례를 드린다.

1984년 보령향교 대성전이 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로 지정되었고, 1997년에 향교 주변 전체가 전체가 충청남도 기념물로 재지정되었다. 건립 후 여러 차례 중수를 거치며 오늘날에 이르고 있으며, 현재 충남향교재단에서 관리하고 있다.


  • 5성: 공자, 증자, 맹자, 안자, 자사
  • 4현: 주돈이, 정호, 정이, 주희
  • 18현: 설총, 최치원, 안향, 정몽주, 김굉필, 정여창, 조광조, 이언적, 이황, 김인후, 이이, 성흔, 김장생, 조헌, 김집, 송시열, 송준길, 박세채

영문

Boryeonghyanggyo Local Confucian School

A local Confucian school, called hyanggyo in Korean, is a public education institution of the Goryeo (918-1392) and Joseon (1392-1910) periods. Such schools were established in jurisdictions across the country to serve as a local shrine for Confucius and to promote Confucian education and nurture local elites. Students learned about poetry composition, Confucian Classics, and history.

Boryeonghyanggyo Local Confucian School was established in the early 15th century and has since undergone several renovations. The complex consists of a lecture area in the front, which includes a main gate, two dormitories, and a lecture hall called Myeongnyundang, and a ritual area at the back, which includes an inner gate, a storehouse for ritual vessels, and a shrine called Daeseongjeon. Notably, there is a smaller gate to the right of the main gate, which is regularly used as the entrance.

Daeseongjeon Shrine holds the spirit tablets of five sages and four eminent scholars of China and 18 eminent scholars of Korea. The local Confucian community holds veneration rituals at the shrine each year in the second and the eighth lunar months.

영문 해설 내용

향교는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의 공공 교육기관이다. 이러한 향교들은 전국 각 지역에 설립되어 공자를 모시는 지역 사당의 역할을 하며, 유학을 교육하고 지역의 인재를 양성하는 데 기여하였다. 학생들은 시를 짓는 법과 유교의 경전과 역사를 배웠다.

보령향교는 15세기 초에 세워진 것으로 추정되고, 이후 여러 차례 중수되었다. 앞쪽에는 정문, 동서재, 명륜당으로 이루어진 교육공간이 있고, 뒤쪽에는 내삼문, 제기고, 대성전으로 이루어진 제향공간이 있다. 정문 오른쪽에는 작은 삼문이 하나 더 있어서 평소 출입하는 데 사용되었다.

대성전에는 공자를 비롯한 중국의 5성과 4현, 한국의 18현의 위패가 모셔져 있으며, 매년 음력 2월과 8월에 지역 유림들이 제례를 드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