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밀양 표충사 대원암 조왕도

HeritageWiki
이슬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1년 11월 18일 (목) 03:43 판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밀양표충사대원암조왕도.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3413804300000 밀양 표...)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밀양 표충사 대원암 조왕도
밀양 표충사 대원암 조왕도,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밀양 표충사 대원암 조왕도
한자 密陽 表忠寺 大願庵 竈王圖
주소 경상남도 밀양시 단장면 구천리 23
지정번호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430호
지정일 2008년 1월 10일
분류 유물/불교회화/탱화/기타
시대 대한제국시대
수량/면적 1폭
웹사이트 밀양 표충사 대원암 조왕도,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조왕도는 부엌을 지키는 신 조왕을 그린 그림이다. 불교가 민간신앙을 받아들여 조왕신을 사찰 공양간*에 모셔온 것이다. 조왕은 민간에서는 자녀를 보호하고 부정을 없애는 신이었고, 절에서는 인간의 잘잘못을 살펴 선악을 가리고 공양간을 지켜내는 역할을 했다.

대원암 조왕도는 크기가 가로 42.4㎝, 세로 53.7㎝로 비단에 채색을 했다. 조왕도는 대개 조왕을 가운데 두고 양옆에 ‘요리의 신’ 취모(炊母)와 ‘땔감의 신’ 담시역사(擔柴力士)를 그리나, 이 조왕도에는 조왕만 그려져 있다. 조왕이 화면 중앙에서 의자에 앉아 양발을 약간 벌린 채 발을 얹는 대인 족좌대 위에 둔 구도이다. 붉은 옷을 입고 머리에 사모*를 쓴 채 왼손에는 파초, 오른손에는 부채를 들고 있다. 빨강을 주된 색으로 쓰고 청록색과 백록색을 섞어 사용했다.

그림의 내력을 담은 화기(畵記)에는 대한제국 시대인 1903년 표충사 내원암에서 조성한 뒤 대원암으로 옮겼다고 기록돼 있다.


  • 공양간(供養間): 절의 부엌을 이르는 말
  • 사모(紗帽):고려 말기에서 조선 시대에 걸쳐 벼슬아치들이 관복을 입을 때에 쓰던 모자. 검은 사(紗)로 만들었다.

영문

영문 해설 내용

조왕도는 부엌을 지키는 신인 조왕을 그린 그림이다. 조왕은 가족을 보호하며 부정을 없애는 신으로 민간에서 오랫동안 숭배의 대상이 되어 왔으며, 불교에 수용되면서 인간의 잘못을 살피고 선악을 구분하는 역할을 하게 되었다. 이는 한국의 불교가 토착신앙과 조화를 이루며 발전했음을 보여준다.

대원암의 조왕도는 1903년에 표충사 내원암에서 조성되었으며, 지금은 대원암 대웅전에 봉안되어 있다.

화면 중앙에 앉아있는 조왕은 붉은 옷을 입고 머리에는 검은 모자를 썼으며, 왼손에는 파초, 오른손에는 부채를 들었다.

조왕의 좌우에 그를 보좌하는 권속들을 표현하는 일반적인 조왕도와는 달리, 이 불화에는 조왕만 단독으로 묘사되어 있다.

비단에 채색을 입혀 그려졌으며, 크기는 가로 42.4㎝, 세로 53.7㎝이다.


  • 대원암은 표충사의 말사로, 비구니들이 지키는 암자이다. 조선 초기에 창건되었다고 하나, 정확한 창건 연대는 알 수 없다.
  • 화면 하단에 화기가 남아있어 그림의 조성 시기와 이전에 대한 내용을 알 수 있다.
  • 일반적인 조왕도에는 조왕의 양 옆에 요리의 신 ‘취모’와 땔감의 신 ‘담시역사’가 그려져 있다.

참고자료

  • 밀양 표충사 대원암 조왕도,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pageNo=1_1_1_1&ccbaCpno=3413804300000 대한제국시대인 光武 7년(1903)에 표충사 내원암에서 조성하여 현재의 대원암에 옮겨 봉안한 조성 및 봉안내력을 간직한 채 현 위치를 잘 지키고 있는 탱화이자 조왕을 단독으로 묘사한 조왕탱임
  • 밀양 대원암(1/2), 백합향기,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om/qnstjs13/222357200734 -> 전각 내 사진./ 대웅전에 걸려있는 것으로 확인됨
  • <참고> 조왕탱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52417 일차적인 조왕은 호법선신중(護法善神衆)의 하나로 포용되어 신중탱화의 하단위목(下壇位目)에 위치하여 인사(人事)를 검찰하고 선악을 분명히 가리는 신으로서 참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