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내장사 조선 동종"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내장사조선동종.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113500490000 내장사 조선 동...)
 
4번째 줄: 4번째 줄: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113500490000 내장사 조선 동종],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113500490000 내장사 조선 동종],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내장사조선동종
 
|대표명칭=내장사조선동종
|영문명칭=
+
|영문명칭=Joseon Bronze Bell of Naejangsa Temple
 
|한자=內藏寺朝鮮銅鐘
 
|한자=內藏寺朝鮮銅鐘
 
|주소=전라북도 정읍시 내장산로 1253 (내장동)
 
|주소=전라북도 정읍시 내장산로 1253 (내장동)
26번째 줄: 26번째 줄:
  
 
===영문===
 
===영문===
 
+
'''Joseon Bronze Bell of Naejangsa Temple'''
  
 
===영문 해설 내용===
 
===영문 해설 내용===
 
불교 사찰에서 범종은 의식을 행할 때 사람들을 모으거나 시각을 알릴 때 사용한다.
 
불교 사찰에서 범종은 의식을 행할 때 사람들을 모으거나 시각을 알릴 때 사용한다.
  
내장사에 있는 이 종은 1768년에 만들어져 장흥의 보림사에 봉안되었던 것이다.  
+
내장사에 있는 이 동종은 1768년에 만들어져 장흥의 보림사에 봉안되었던 것이다. 언제 내장사로 옮겨졌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언제 내장사로 옮겨졌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
높이 80cm, 몸체 길이 60cm, 구경 50cm의 작은 크기이다. 종의 꼭대기에는 종을 매달기 위한 고리인 용뉴(龍鈕)와 소리를 만들어주는 음통(音筒)이 있다. 종 몸체의 제일 윗부분과 맨 아랫부분에는 덩굴무늬 등이 새겨져 있다. 종의 몸체 상단부에는 산스크리트 {{문화유산정보
 +
|사진=내장사조선동종.jpg
 +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113500490000 내장사 조선 동종],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
|대표명칭=내장사조선동종
 +
|영문명칭=Joseon Bronze Bell of Naejangsa Temple
 +
|한자=內藏寺朝鮮銅鐘
 +
|주소=전라북도 정읍시 내장산로 1253 (내장동)
 +
|소장처=
 +
|지정번호=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49호
 +
|지정일=1974년 9월 27일
 +
|분류=유물/불교공예/의식법구/의식법구
 +
|소유자=
 +
|관리자=
 +
|시대=
 +
|제작시기=
 +
|수량/면적=1구
 +
|웹사이트=[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113500490000 내장사 조선 동종],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
|위도=35.490408
 +
|경도=126.902
 +
}}
  
종의 꼭대기에는 종을 매달기 위한 고리인 용뉴(龍鈕)와 소리를 만들어주는 음통(音筒)이 있다. 일반적으로 우리나라 범종의 용뉴는 이 종에서 보이는 것처럼 한 마리의 용이 여의주를 물고 있는 모양을 하고 있다.  
+
=='''해설문'''==
 +
===국문===
 +
내장사 조선 동종은 영조 44년(1768)에 만들어졌으며 내장사를 다시 세우면서 전라남도 보림사에서 옮겨 왔다. 이 종은 높이 80cm, 몸체 길이 60cm, 구경 50cm의 작은 크기이다. 종 몸체의 제일 윗부분과 맨 아랫부분에는 덩굴무늬 등이 새겨져 있다. 종의 몸체 상단부에는 인도의 옛 글자가 새겨져 있고 이중으로 테를 두른 24개의 둥근 원이 있다. 그 아래에는 사각형 무늬와 서 있는 보살상 그리고 종에 관련된 기록 등이 돋을새김되어 있다. 청동으로 만들어졌으며 조선 후기 범종의 특징이 잘 나타나 있다.
  
종 치는 자리인 당좌(撞座)는 서 있는 보살상 아래쪽 두 곳에 자리하고 있으며, 꽃문양으로 장식되어 있다.
+
===영문===
 +
'''Joseon Bronze Bell of Naejangsa Temple'''
 +
 
 +
===영문 해설 내용===
 +
불교 사찰에서 범종은 의식을 행할 때 사람들을 모으거나 시각을 알릴 때 사용한다.
  
종의 몸통 상단부에는 인도의 옛 글자가 새겨져 있고, 몸통 하단에는 종에 관련된 기록 등이 새겨져 있다.  
+
내장사에 있는 이 동종은 1768년에 만들어져 장흥의 보림사에 봉안되었던 것이다. 언제 내장사로 옮겨졌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일제 말기에는 놋쇠 공출을 피하여 원적암(圓寂庵)에 숨겼고, 한국전쟁 때는 정읍시내 포교당에 피난시켜 보전하였고 한다.
+
높이 80cm, 몸체 길이 60cm, 구경 50cm의 작은 크기이다. 종의 꼭대기에는 종을 매달기 위한 고리인 용뉴(龍鈕)와 소리를 만들어주는 음통(音筒)이 있다. 종 몸체의 제일 윗부분과 맨 아랫부분에는 덩굴무늬 등이 새겨져 있고, 종의 몸체 상단부에는 산스크리트 문자가 새겨져 있다. 그 아래에는 서 있는 보살상과 이 종의 조성과 관련된 기록이 있다.  
  
=='''참고 자료'''==
+
=='''참고자료'''==
 
*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CP_THE&search_div_id=CP_THE007&cp_code=cp0501&index_id=cp05010027&content_id=cp050100270001&search_left_menu=3
 
*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CP_THE&search_div_id=CP_THE007&cp_code=cp0501&index_id=cp05010027&content_id=cp050100270001&search_left_menu=3
 
*http://www.jeongeup.go.kr/culture/board/view.jeongeup?boardId=BBS_0000004&menuCd=DOM_000000601004002000&startPage=1&categoryCode1=AB01&categoryCode2=BB18&categoryCode3=AB0&dataSid=254
 
*http://www.jeongeup.go.kr/culture/board/view.jeongeup?boardId=BBS_0000004&menuCd=DOM_000000601004002000&startPage=1&categoryCode1=AB01&categoryCode2=BB18&categoryCode3=AB0&dataSid=254

2020년 6월 18일 (목) 21:06 판


내장사조선동종
Joseon Bronze Bell of Naejangsa Temple
내장사 조선 동종,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내장사조선동종
영문명칭 Joseon Bronze Bell of Naejangsa Temple
한자 內藏寺朝鮮銅鐘
주소 전라북도 정읍시 내장산로 1253 (내장동)
지정번호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49호
지정일 1974년 9월 27일
분류 유물/불교공예/의식법구/의식법구
수량/면적 1구
웹사이트 내장사 조선 동종,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내장사 조선 동종은 영조 44년(1768)에 만들어졌으며 내장사를 다시 세우면서 전라남도 보림사에서 옮겨 왔다. 이 종은 높이 80cm, 몸체 길이 60cm, 구경 50cm의 작은 크기이다. 종 몸체의 제일 윗부분과 맨 아랫부분에는 덩굴무늬 등이 새겨져 있다. 종의 몸체 상단부에는 인도의 옛 글자가 새겨져 있고 이중으로 테를 두른 24개의 둥근 원이 있다. 그 아래에는 사각형 무늬와 서 있는 보살상 그리고 이 종에 관련된 기록 등이 돋을새김되어 있다. 청동으로 만들어졌으며 조선 후기 범종의 특징이 잘 나타나 있다.

영문

Joseon Bronze Bell of Naejangsa Temple

영문 해설 내용

불교 사찰에서 범종은 의식을 행할 때 사람들을 모으거나 시각을 알릴 때 사용한다.

내장사에 있는 이 동종은 1768년에 만들어져 장흥의 보림사에 봉안되었던 것이다. 언제 내장사로 옮겨졌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높이 80cm, 몸체 길이 60cm, 구경 50cm의 작은 크기이다. 종의 꼭대기에는 종을 매달기 위한 고리인 용뉴(龍鈕)와 소리를 만들어주는 음통(音筒)이 있다. 종 몸체의 제일 윗부분과 맨 아랫부분에는 덩굴무늬 등이 새겨져 있다. 종의 몸체 상단부에는 산스크리트

내장사조선동종
Joseon Bronze Bell of Naejangsa Temple
내장사 조선 동종,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내장사조선동종
영문명칭 Joseon Bronze Bell of Naejangsa Temple
한자 內藏寺朝鮮銅鐘
주소 전라북도 정읍시 내장산로 1253 (내장동)
지정번호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49호
지정일 1974년 9월 27일
분류 유물/불교공예/의식법구/의식법구
수량/면적 1구
웹사이트 내장사 조선 동종,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내장사 조선 동종은 영조 44년(1768)에 만들어졌으며 내장사를 다시 세우면서 전라남도 보림사에서 옮겨 왔다. 이 종은 높이 80cm, 몸체 길이 60cm, 구경 50cm의 작은 크기이다. 종 몸체의 제일 윗부분과 맨 아랫부분에는 덩굴무늬 등이 새겨져 있다. 종의 몸체 상단부에는 인도의 옛 글자가 새겨져 있고 이중으로 테를 두른 24개의 둥근 원이 있다. 그 아래에는 사각형 무늬와 서 있는 보살상 그리고 이 종에 관련된 기록 등이 돋을새김되어 있다. 청동으로 만들어졌으며 조선 후기 범종의 특징이 잘 나타나 있다.

영문

Joseon Bronze Bell of Naejangsa Temple

영문 해설 내용

불교 사찰에서 범종은 의식을 행할 때 사람들을 모으거나 시각을 알릴 때 사용한다.

내장사에 있는 이 동종은 1768년에 만들어져 장흥의 보림사에 봉안되었던 것이다. 언제 내장사로 옮겨졌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높이 80cm, 몸체 길이 60cm, 구경 50cm의 작은 크기이다. 종의 꼭대기에는 종을 매달기 위한 고리인 용뉴(龍鈕)와 소리를 만들어주는 음통(音筒)이 있다. 종 몸체의 제일 윗부분과 맨 아랫부분에는 덩굴무늬 등이 새겨져 있고, 종의 몸체 상단부에는 산스크리트 문자가 새겨져 있다. 그 아래에는 서 있는 보살상과 이 종의 조성과 관련된 기록이 있다.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