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나주 불회사 원진국사 부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잔글 (강혜원님이 나주 불회사 원진국사부도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나주 불회사 원진국사 부도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4번째 줄: 4번째 줄: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113602250000 나주 불회사 원진국사 부도],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113602250000 나주 불회사 원진국사 부도],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나주 불회사 원진국사 부도
 
|대표명칭=나주 불회사 원진국사 부도
|영문명칭=
+
|영문명칭=Stupa of State Preceptor Wonjin at Bulhoesa Temple, Naju
 
|한자=羅州 佛會寺 圓眞國師 浮屠
 
|한자=羅州 佛會寺 圓眞國師 浮屠
|주소=전남 나주시 다도면 다도로 1224-142, 불회사 (마산리)
+
|주소=전라남도 나주시 다도면 다도로 1224-142, 불회사 (마산리)
 
|소장처=
 
|소장처=
 
|지정번호=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225호
 
|지정번호=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225호
32번째 줄: 32번째 줄:
  
 
===영문===
 
===영문===
 +
'''Stupa of State Preceptor Wonjin at Bulhoesa Temple, Naju'''
  
 +
===영문 해설 내용===
 +
고려시대의 승려 승형(1171-1221)을 기리기 위해 1317년에 세워진 승탑이다. 승탑은 스님의 사리나 유골을 모셔 놓은 일종의 무덤이다.
 +
 +
승형은 13세 때 문경 봉암사에서 출가하였다. 1197년에 승과에 합격한 이후 명산을 유람하며 수행에 힘썼다. 1215년 대선사가 되고 왕명으로 포항 보경사의 주지가 되었으며, 1221년 대구 팔공산의 염불사로 옮겨 입적하였다. 고종(재위 1213-1259)이 부고를 듣고 심히 애도하며, 원진국사라는 시호를 내렸다.
 +
 +
탑은 기단, 몸돌, 지붕돌로 이루어져 있다. 몸돌 앞면에는 '원진국사의 승탑'이라는 이름과 1317년에 세웠다는 내용이 새겨져 있다.
  
===영문 해설 내용===
 
  
  

2020년 11월 19일 (목) 01:30 판


나주 불회사 원진국사 부도
Stupa of State Preceptor Wonjin at Bulhoesa Temple, Naju
나주 불회사 원진국사 부도,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나주 불회사 원진국사 부도
영문명칭 Stupa of State Preceptor Wonjin at Bulhoesa Temple, Naju
한자 羅州 佛會寺 圓眞國師 浮屠
주소 전라남도 나주시 다도면 다도로 1224-142, 불회사 (마산리)
지정번호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225호
지정일 2000년 6월 20일
분류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탑
시대 고려시대
수량/면적 1기
웹사이트 나주 불회사 원진국사 부도,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승탑은 승려의 사리를 모신 무덤의 일종으로 부도나 사리탑이라고도 한다. 승탑은 받침돌(기단부)과 몸돌(탑신부), 지붕돌(옥개석), 지붕 머리(상륜부)로 나뉘는데, 불회사 원진 국사 승탑은 지붕 머리는 없고 다른 부분은 잘 남아 있다. 몸돌 앞면에는 ‘원진국사통조지탑(圓眞國師通照之塔)’이라는 당호와 함께 ‘연우4년 정사5월 일립(延祐四年丁巳五月 日立)’이라는 조성 연대(1317년 고려 충숙왕 4)가 새겨져 있다. 이 승탑은 주인공과 제작 연대를 알 수 있어서 가치가 있으며, 고려 후기의 승탑 양식을 이해하는 데에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

고려 중기의 고승 원진 국사는 13세에 승려가 된 후에 수도에 힘써 1215년에 대선사*가 되었다. 왕의 부름으로 보경사의 주지*가 되어 활동하다가 1221년 8월 팔공산 염불암에서 숨을 거두었다. 고려 고종은 ‘원진’이라는 시호*를 내리고 나라의 스승이라는 의미인 ‘국사’로 예우하였다.


  • 대선사(大禪師): 고려 시대 선종의 법계 가운데 하나. 선종의 법계 가운데 가장 높은 등급으로 왕사의 아래, 선사(禪師)의 위이다.
  • 주지(住持): 절을 잘 유지하도록 책임지고 관리하는 승려
  • 시호(諡號): 제왕이나 재상, 유현(儒賢)들이 죽은 뒤에 이들의 공덕을 칭송하여 붙인 이름

영문

Stupa of State Preceptor Wonjin at Bulhoesa Temple, Naju

영문 해설 내용

고려시대의 승려 승형(1171-1221)을 기리기 위해 1317년에 세워진 승탑이다. 승탑은 스님의 사리나 유골을 모셔 놓은 일종의 무덤이다.

승형은 13세 때 문경 봉암사에서 출가하였다. 1197년에 승과에 합격한 이후 명산을 유람하며 수행에 힘썼다. 1215년 대선사가 되고 왕명으로 포항 보경사의 주지가 되었으며, 1221년 대구 팔공산의 염불사로 옮겨 입적하였다. 고종(재위 1213-1259)이 부고를 듣고 심히 애도하며, 원진국사라는 시호를 내렸다.

탑은 기단, 몸돌, 지붕돌로 이루어져 있다. 몸돌 앞면에는 '원진국사의 승탑'이라는 이름과 1317년에 세웠다는 내용이 새겨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