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김천 봉곡사 대웅전 석조석가여래삼존상

HeritageWiki
이슬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2년 3월 23일 (수) 14:13 판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김천봉곡사대웅전석조석가여래삼존상.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11370...)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김천 봉곡사 대웅전 석조석가여래삼존상
김천 봉곡사 대웅전 석조석가여래삼존상,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김천 봉곡사 대웅전 석조석가여래삼존상
한자 金泉 鳳谷寺 大雄殿 石造釋迦如來三尊像
주소 경상북도 김천시 대덕면 조룡리 882
지정번호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404호
지정일 2008년 4월 28일
분류 유물/불교조각/석조/불상
시대 조선시대
수량/면적 일괄
웹사이트 김천 봉곡사 대웅전 석조석가여래삼존상,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기존 국문

기존 문안 없음.

수정 국문

초고

봉곡사의 중심전각인 대웅전에 모셔져 있는 이 삼존불상은 중앙의 석가여래과 좌우의 협시보살로 구성되어 있다. 조선 현종 11년(1670)에 승려 조각가인 삼응(三應) 등이 제작한 것으로, 이러한 사실은 본존불에서 발견된 발원문에 의해 확인되었다.

가운데에 앉아있는 석가여래상은 오른손은 손을 편 채 손바닥을 아래로 향하게 하고, 왼손은 엄지와 중지를 맞대어 손바닥을 위로 향하게 해 무릎 위에 올렸다. 이러한 손 모양은 부처가 깨달음을 얻은 순간을 상징한다.

좌우의 협시보살은 둘 다 보관을 쓰고 있으며, 전체적인 모습이 매우 비슷하지만 손의 방향은 반대로 되어 있다.

이 불상들은 불석(拂石)으로 형태를 만든 후 위에 금을 덧입히는 방식으로 제작되었는데, 나무로 제작하는 불상이 많았던 17세기 후반에 제작된 불상들은 나무로 제작되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특이한 사례로 볼 수 있다.

  • 본존불 복장유물 발견 시점 검색되지 않음.
  • 민백에는 좌우 협시보살이 제화갈라보살과 미륵보살이라고 설명되어 있으나, 지자체 제공 참고자료 등에는 존상에 대한 언급이 없고, 조선 후기의 삼존상 구성에서 주존 석가모니불의 좌우 협시는 아미타불-약사불인 경우도 있어 언급하지 않는 것이 나을 것으로 보임. /
  • 불상 제작에 참여한 조각승 삼응은 경상도지역에서 활동하며 불석제 불상을 조형한 승일(勝日)을 잇는 계파의 중요한 조각승으로, 이 불상은 삼응이 수조각승이 되어 제작한 유일한 작품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승일파 조각 연구에도 귀중한 자료가 된다.
  • 대웅전은 1990년에 중건되었다. / 봉곡사는 신라 때의 고승 자장(慈藏, 590~658)이 창건하고 이후 통일신라의 고승 도선(道詵, 827~898)이 고려 초 지금의 자리에 개창했다고 전한다. 이곳은 임진왜란 때 모든 전각이 불에 타 사라진 이후, 여러 차례의 소실과 중건이 반복되었다. 현재 경내에는 대웅전과 명부전, 요사채 등 5채의 전각이 있다.

1차 수정

참고자료

  • 지자체 제공 자료 → 이 불상은 중앙의 본존불좌상과 좌우 협시보살좌상으로 이루어진 석조삼존불좌상으로, 석불에 도금이 된 상태이다. 삼존상의 손모양은 공통적으로 촉지인을 하고 있으며 손바닥을 위로 향한 왼손은 엄지와 중지를 맞대고 있다. 본존불은 불신에 비해 좁은 어깨에 머리가 크고 목이 짧아 움츠린 듯한 자세이며 신체의 굴곡이 나타나지 않는 두꺼운 옷을 걸치고 있다. 「봉곡사중수사적」과 본존불의 복장에서 나온 「불상조성도금사적기」에 의하면 조성연대가 1670년으로 기록되어 있다. 17세기 후반의 불상은 주로 목조상이 많이 조성되었기 때문에 이 석조상의 사례는 특이한 경우이다.
  • 김천 봉곡사 대웅전 석조석가여래삼존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75298 → 석조여래상 내부에서 발견된 발원문에는 제작시기, 발원자, 제작에 관여한 사람 등이 기록되었다. 즉 1670년 3월 18일에 불사를 시작하여 4월 그믐날에 완성하였고 조각승은 수화원이 삼응이고 차화승이 학종(學宗)이다. 조각승 삼응은 1651년에 서울 봉은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보물 제1819호) 조성에 승일(勝日)의 보조화승으로 처음 등장하였다. 이후 삼응은 승일이 수화승으로 1665년에 칠곡 송림사 석조삼장보살좌상, 1668년에 김천 직지사 비로전 석조비로자나불좌상 조성에 줄곧 참여하였다. 이들 작품 중 김천 직지사 비로전 석조비로자나불좌상은 봉곡사 대웅전 석조석가여래삼존상과 얼굴 표현이나 신체 비례가 매우 유사하다. / 봉곡사 대웅전 석조석가여래삼존상은 1670년에 조각승 삼응이 제작한 기록이 명확하며 삼응이 수조각승이 되어 제작한 유일한 작품으로도 의의가 있다. 더욱이 삼응은 승일 계파의 중요한 조각승으로, 승일파 조각 연구에도 귀중한 자료가 된다. 또한 불석제 불상의 하나로 조선 후기 불상 재료 연구에도 중요하다.
  • 김천 봉곡사 대웅전 석조석가여래삼존상, 디지털김천문화대전 http://gimcheon.grandculture.net/gimcheon/toc/GC03201912 → 불상 3구와 복장물(腹藏物) 1책(冊)을 일괄하여 2008년 4월 28일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404호로 지정되었다.
  • [김천] 봉곡사, 낭만적 이데아,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om/pjk3108/221723288686 → 봉곡사 전경, 개별 불상 사진
  • 봉곡사, 직지사 사찰안내 – 말사 http://www.jikjisa.or.kr/bbs/board.php?bo_table=107020&wr_id=39 → 봉곡사는 경북 김천시 대덕면 조룡 2리 882에 위치하고 있다. 사전(寺傳)하는 봉곡사중수사적비명(鳳谷寺重修事蹟碑銘)(1698년,靈休 撰)에 의하면 그 개창이 신라 고찰이라 하였다. 즉, 신라시대 자장 대덕(慈藏大德) 이 도량을 개기(開基) 하고 이어서 고려초 도선 국사가 중수했다고 하였다. 이보다 앞서, 영휴 대사에 의하여 기록된봉곡사사적(1685년)에는, 동상실(東上室) 화재시(1717년) 습득한 상량문을 인용하여 고려 태조 천수(天授) 5년(922) 도선 국사의 개창이라 하였으므로 그 개기(開基) 에 혼란이 있다. 그러나 영휴 대사는 사적을 편찬하고 나서 13년 후 사승(寺僧) 현윤 대사(玄胤大師) 의 간청으로 사적기를 다시 재록(再錄) 하면서 자장 법사 당시의 개창으로 규정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들 사적을 의지한다면 봉곡사는 자장 법사의 개기후 고려초 도선 국사에 의하여 개창되었다고 보는 것이 무난하리라 본다. 봉곡사사적에는 봉곡사가 가장 왕성하였던 1700년대만 하여도 18전각이 있었던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지금은 대웅전, 명부전을 위시하여 동상실(東上室)과 2동의 요사만이 전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