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적멸보궁(김제 금산사 일원)"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22번째 줄: 22번째 줄:
  
 
=='''해설문'''==
 
=='''해설문'''==
===기존 국문===
+
===국문===
이 법당은 방등계단에 참배하기 위하여 특별히 건립된 방등계단 예배전이다.
+
적멸보궁은 석가모니 부처님의 진신사리에 직접 예불을 드리기 위한 전각이다.  부처님의 분신과 다름없는 사리를 모시기 때문에 전각 안에 불상이나 불화 등은 모시지 않으며, 전(殿)이나 각(閣)보다 더 높은 의미에서 궁(宮)이라고 한다.  
  
원래는 나한전으로 석가모니불, 제화가라보살, 미륵보살 그리고 석가모니불의 제자인 16나한상을 봉안하고 있었으나, 1998년 방등계단을 성역화할 때 다시 크게 개축한 것이다. 법당 뒤에 있는 방등계단에 부처님의 진신사리가 모셔져 있기 때문에 법당 내에는 불상을 따로 봉안하지 않았으며, 그 기능이 부처님 진신사리 예배소이기 때문에 이름을 적멸보궁으로 바꾸었다.
+
금산사 적멸보궁의 뒤편에는 금강계단이 있고, 그 중앙에는 부처님의 진신사리를 모신 종 모양의 탑이 있다. 적멸보궁 안에는 불상을 모시지 않고, 건물의 뒤쪽 벽에 작은 개구부를 두어 금강계단에 있는 사리탑에 직접 예불을 드릴 수 있도록 하였다. 원래 이 자리에는 나한전이 있었으나, 1998년 방등계단을 정비하면서 나한전을 대적광전 뒤쪽으로 옮기고 지금의 적멸보궁을 새로 지었다.
  
===수정 국문===
+
===영문===
====초고====
+
'''Jeongmyeolbogung Hall'''
적멸보궁은 석가모니불의 진신사리에 예배하기 위해 세워진 전각이다. 진신사리란 석가모니가 입적한 후 시신을 화장하였을 때 몸에서 나온 구슬 모양의 유골을 말하며, 부처님의 몸과 같은 것으로 여겨진다.
 
  
적멸보궁 바로 뒤에 있는 금강계단에는 부처님의 사리를 모신 종 모양의 탑이 있다. 따라서 적멸보궁 안에는 불상을 따로 모시지 않았고, 유리벽을 통해 금강계단에 있는 사리탑에 예불을 드릴 수 있게 되어 있다.
+
===영문 해설 내용===
 +
적멸보궁은 석가모니불의 진신사리나 진신사리를 봉안한 상징물에 예배하기 위해 세워진 전각이다. 진신사리란 석가모니가 열반한 후 시신을 화장하였을 때 몸에서 나온 유골이다.
  
원래 이 자리에는 나한전이 있었으나, 1998년 금강계단을 정비하면서 나한전을 대적광전 뒤쪽으로 옮기고 적멸보궁을 새로 지었다.
+
금산사 적멸보궁 바로 뒤에 있는 금강계단에는 부처님의 사리를 모신 종 모양의 탑이 있다. 따라서 적멸보궁 안에는 불상을 따로 모시지 않았고, 유리벽을 통해 금강계단에 있는 사리탑에 직접 예불을 드릴 수 있도록 하였다.
 
 
====자문의견====
 
#불교문화재 위원1
 
#*명칭은 부합되나, 설명이 중첩되어 있어 부적합 하다.
 
#*석가모니에 대해서는 ‘입적’이라 하지 않고 ‘열반’이라 한다.
 
#*적멸보궁이라는 전문적인 전각명칭에 대한 설명이 없다.   
 
#*정확하다.
 
#*적멸보궁의 의미에 대한 설명이 누락되어 있다.
 
 
 
#불교문화재 위원2
 
#*‘적멸보궁은 석가모니불의 진신사리에 예배하기 위해 세워진 전각이다.’ -> ~ 진신사리나 진신사리를 봉안한 상징물에 ~
 
 
 
====2차 수정====
 
적멸보궁은 석가모니불의 '''진신사리나 진신사리를 봉안한 상징물에''' 예배하기 위해 세워진 전각이다. 진신사리란 석가모니가 '''열반한 후''' 시신을 화장하였을 때 몸에서 나온 '''유골이다.'''
 
 
 
적멸보궁 바로 뒤에 있는 금강계단에는 부처님의 사리를 모신 종 모양의 탑이 있다. 따라서 적멸보궁 안에는 불상을 따로 모시지 않았고, 유리벽을 통해 금강계단에 있는 사리탑에 예불을 드릴 수 있게 되어 있다.
 
  
 
원래 이 자리에는 나한전이 있었으나, 1998년 금강계단을 정비하면서 나한전을 대적광전 뒤쪽으로 옮기고 적멸보궁을 새로 지었다.
 
원래 이 자리에는 나한전이 있었으나, 1998년 금강계단을 정비하면서 나한전을 대적광전 뒤쪽으로 옮기고 적멸보궁을 새로 지었다.
 
 
=='''문맥요소'''==
 
===Nodes===
 
 
===Links===
 
 
 
  
 
=='''참고자료'''==
 
=='''참고자료'''==

2020년 6월 5일 (금) 03:09 판


적멸보궁
Jeongmyeolbogung Hall
한국학중앙연구원 디지털인문학연구소.
대표명칭 적멸보궁
영문명칭 Jeongmyeolbogung Hall
한자 寂滅寶宮
주소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모악15길 1



해설문

국문

적멸보궁은 석가모니 부처님의 진신사리에 직접 예불을 드리기 위한 전각이다. 부처님의 분신과 다름없는 사리를 모시기 때문에 전각 안에 불상이나 불화 등은 모시지 않으며, 전(殿)이나 각(閣)보다 더 높은 의미에서 궁(宮)이라고 한다.

금산사 적멸보궁의 뒤편에는 금강계단이 있고, 그 중앙에는 부처님의 진신사리를 모신 종 모양의 탑이 있다. 적멸보궁 안에는 불상을 모시지 않고, 건물의 뒤쪽 벽에 작은 개구부를 두어 금강계단에 있는 사리탑에 직접 예불을 드릴 수 있도록 하였다. 원래 이 자리에는 나한전이 있었으나, 1998년 방등계단을 정비하면서 나한전을 대적광전 뒤쪽으로 옮기고 지금의 적멸보궁을 새로 지었다.

영문

Jeongmyeolbogung Hall

영문 해설 내용

적멸보궁은 석가모니불의 진신사리나 진신사리를 봉안한 상징물에 예배하기 위해 세워진 전각이다. 진신사리란 석가모니가 열반한 후 시신을 화장하였을 때 몸에서 나온 유골이다.

금산사 적멸보궁 바로 뒤에 있는 금강계단에는 부처님의 사리를 모신 종 모양의 탑이 있다. 따라서 적멸보궁 안에는 불상을 따로 모시지 않았고, 유리벽을 통해 금강계단에 있는 사리탑에 직접 예불을 드릴 수 있도록 하였다.

원래 이 자리에는 나한전이 있었으나, 1998년 금강계단을 정비하면서 나한전을 대적광전 뒤쪽으로 옮기고 적멸보궁을 새로 지었다.

참고자료

  • 대한불교조계종 포교원, 『불교입문』, 조계종출판사,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