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구례 운조루 고택"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56번째 줄: 56번째 줄:
  
 
===영문 해설 내용===
 
===영문 해설 내용===
 +
이 집은 조선 후기의 무신이었던 유이주(1726-1797)가 지었다. 유이주가 1771년 낙안(지금의 순천)의 군수가 되면서 터를 닦기 시작하였고, 대공사를 거쳐 1776년에 완공되었다.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양반 가옥이며, 집이 위치한 곳은 남한 3대 명당 중 하나라고 한다.
  
 +
집은 행랑채, 사랑채, 안채, 사당으로 구성되어 있다.
 +
 +
대문 양옆에 늘어선 행랑채는 머슴들이 살던 곳이다. 조선 사대부 집 중 가장 긴 행랑채였다고 하며, 이 집의 규모를 짐작하게 한다.
 +
 +
대문을 들어서면 정면에 보이는 큰사랑채는 집주인이 거처하면서 손님을 접대하던 곳이고, 그 오른쪽의 작은사랑채는 아들이 머물던 곳이다. 사랑채에는 들문을 설치해서, 필요에 따라 모든 공간을 넓게 쓸 수 있도록 했다.
 +
 +
사랑채에 있는 중문을 통해 안채로 드나들 수 있다. 안채는 안주인과 며느리, 자녀들이 거처하였다. 전라도 지역의 ‘一’자형이나 ‘ㄱ’자형 안채와 달리, 이 집의 안채는 ‘ㅁ’자 형식이다. 이는 유이주의 고향인 경상북도 지역 집의 형식을 따른 것으로 추정된다.
  
 
=='''갤러리'''==
 
=='''갤러리'''==
 
<gallery mode=packed heights=400px>
 
<gallery mode=packed heights=400px>
파일:구례운조루고택_배치도.jpg | 배치도
+
파일:구례운조루고택_배치도.jpg | 배치도<ref>“[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727013&cid=49277&categoryId=49277 운조루]”, 전통건축과 장소, 문화원형백과.</ref>
 +
File:전라구례오미동가도.jpg | 전라 구례 오미동 가도
 +
File:구례운조루고택_타인능해.jpg | 뒤주의 '타인능해'
 
</gallery>
 
</gallery>
=='''참고'''==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727013&cid=49277&categoryId=49277 운조루]”, 전통건축과 장소, 문화원형백과.
 
  
 +
=='''주석'''=
 +
<references/>
  
 
[[분류:문화유산해설문]]
 
[[분류:문화유산해설문]]

2019년 11월 24일 (일) 02:44 판


구례 운조루 고택
Unjoru House, Gurye
구례 운조루 고택,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구례 운조루 고택
영문명칭 Unjoru House, Gurye
한자 求禮 雲鳥樓 古宅
주소 전라남도 구례군 토지면 운조루길 59
지정번호 국가민속문화재 제8호
지정일 1968년 11월 25일
분류 유적건조물/주거생활/조경건축/누정
시대 조선시대
수량/면적 10필지/4,411㎡
웹사이트 구례 운조루 고택,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구례 운조루 고택은 영조 52년(1776)에 낙안군수를 지낸 유이주가 지은 것으로, 조선 시대의 양반 가옥의 대표 건물이다. 풍수지리설에 따르면 집터가 금환락지(金環落地)* 형세로 남한 3대 길지의 하나라고 한다. 집은 행랑채, 사랑채, 안채와 사당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라도 지역에서는 ‘一’자형이나 ‘ㄱ’자 형 안채가 많은데, 이와 달리 운조루 고택은 ‘ㄷ’자형의 안채와 ‘丁’자형 사랑채를 포함하여 전체적으로 트인 ‘ㅁ’자 형식이다. 이 형식은 경상북도 지역에서 많이 볼 수 있다. 운조루를 세우기 시작한 해는 1771년으로 유이주가 고향인 경상북도 안동에서 보고 살았던 집의 형식으로 지은 것으로 추정한다.

운조루는 7년이라는 긴 공사 기간을 거쳐 1776년에 완성하였다. 이 건물의 초기 모습은 1800년대에 그린 것으로 추정하는 <전라 구례 오미동 가도(全羅求禮五美洞家圖)>를 통해서 알 수 있다.

  • 금환락지(金環落地): 금가락지가 떨어진 땅.

운조루

운조루는 구례 운조루 고택의 누마루가 있는 사랑채의 이름이다. 이는 ‘구름 속에 새처럼 숨어사는 집’ 또는 ‘구름 위를 나는 새도 돌아오는 집’이라는 뜻이다. 이 운조루라는 이름은 중국 시인 도연명이 지은 귀거래사(歸去來辭)라는 시

雲無心以出岫(운무심이출수: 구름은 무심히 산골짜기에 피어오르고)
鳥倦飛而知還(조권비이지환: 새들은 날기에 지쳐 둥지로 돌아오네)

에서 첫머리인 ‘운(雲)’자와 ‘조(鳥)’자를 따온 것이라고 한다.

가빈터

가빈터란 집안 내에 죽은 사람을 모셔 두는 곳이다. 조선 시대 사대부 집안에서는 운명 후 3일이 지나면 입관을 하고, 석 달 동안 ‘가빈터’에 시신을 모셨다가 출상하여 묘지에 안장하였다. 이는 전국 각지에 부음을 전하고 문상객이 장례식에 참석할 수 있도록 장례 기간을 최대 90일 정도로 설정하고 장례를 통상 100일장으로 치렀기 때문이다. 안치 기간 중에는 아침, 저녁으로 음식을 올리고 삭망*에는 제례를 올렸다.


  • 삭망(朔望): 음력 초하룻날과 보름날을 아울러 이르는 말.

타인능해

타인능해(他人能解)는 ‘누구나 열 수 있다.’라는 뜻이다. 이는 쌀 두 가마니 반이 들어가는 운조루의 큰 뒤주 아래쪽 마개에 쓰인 글귀로 누구든 뒤주의 마개를 열어 쌀을 가져가라는 뜻이다. 그래서 이 쌀 뒤주를 안채가 아닌 대문에 들어서면 바로 보이는 곳에 두었다. 이는 가난한 이웃이 눈치 보지 않고 쌀을 가져 갈 수 있도록 배려한 운조루의 정신을 보여 준다. 운조루가 지금까지 건재할 수 있었던 것은 이처럼 이웃을 배려하는 타인능해의 정신에서 비롯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영문

Unjoru House, Gurye


영문 해설 내용

이 집은 조선 후기의 무신이었던 유이주(1726-1797)가 지었다. 유이주가 1771년 낙안(지금의 순천)의 군수가 되면서 터를 닦기 시작하였고, 대공사를 거쳐 1776년에 완공되었다.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양반 가옥이며, 집이 위치한 곳은 남한 3대 명당 중 하나라고 한다.

집은 행랑채, 사랑채, 안채, 사당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문 양옆에 늘어선 행랑채는 머슴들이 살던 곳이다. 조선 사대부 집 중 가장 긴 행랑채였다고 하며, 이 집의 규모를 짐작하게 한다.

대문을 들어서면 정면에 보이는 큰사랑채는 집주인이 거처하면서 손님을 접대하던 곳이고, 그 오른쪽의 작은사랑채는 아들이 머물던 곳이다. 사랑채에는 들문을 설치해서, 필요에 따라 모든 공간을 넓게 쓸 수 있도록 했다.

사랑채에 있는 중문을 통해 안채로 드나들 수 있다. 안채는 안주인과 며느리, 자녀들이 거처하였다. 전라도 지역의 ‘一’자형이나 ‘ㄱ’자형 안채와 달리, 이 집의 안채는 ‘ㅁ’자 형식이다. 이는 유이주의 고향인 경상북도 지역 집의 형식을 따른 것으로 추정된다.

갤러리

=주석

  1. 운조루”, 전통건축과 장소, 문화원형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