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고령 대평리 석조여래입상

HeritageWiki
이슬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0년 6월 21일 (일) 15:39 판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고령대평리석조여래입상.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3413703590000 고령 대...)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고령 대평리 석조여래입상
고령 대평리 석조여래입상,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고령 대평리 석조여래입상
한자 高靈 大坪里 石造如萊立像
주소 경상북도 고령군 운수면 대평리 472
지정번호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359호
지정일 1999년 3월 11일
분류 유물/불교조각/석조/불상
시대 고려시대
수량/면적 1구
웹사이트 고령 대평리 석조여래입상,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경상북도 고령군 운수면 대평리에 있는 이 석불은 옆에 고목이 한 그루가 있어 원 위치에서 옮겨진 듯하다. 이 불상이 처음 발견된 곳은 노온사(盧溫寺) 절터라는 이야기가 전해오지만 확실하지 않다. 다만 주변에서 연꽃무늬가 새겨진 고려시대 기와 조각이 발견되어 근처가 절터였음을 짐작하게 한다.

이 석불은 상당 부분이 땅에 묻혀 있어 전체의 형태나 규모를 자세히는 알 수 없으나 높이는 1m 내외로 추정된다.

타원형의 광배(光背)*와 부처의 몸을 같은 돌에 새겼다. 머리는 둥근 편으로 왼쪽부터 앞이마까지 다소 깎여 평평한데 이는 조각할 당시의 모습으로 보인다. 눈 부위는 얕게 조각하였으며, 입가는 미소가 뚜렷하고 두 볼은 풍만하다. 몸에 걸친 법복은 통견(通肩)*으로 겨드랑이 안쪽을 가로지르는 옷이 있고 두 손은 가슴 앞에서 모은 형식이다.

이 불상은 고려시대 일반적인 불상 양식과 비슷하나, 광배 앞뒷면에 조각이 없고, 목 부분이 없는 것이 특징적이다.


  • 광배(光背) : 부처의 몸에서 나오는 진리의 빛을 형상화한 것.
  • 통견(通肩) : 앞가슴을 둘러 양어깨를 덮어 입는 부처의 옷차림.

영문

영문 해설 내용

이 불상은 고려시대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장식이 없는 광배와 불상을 하나의 돌에 새겼으며 불상에는 목 부분이 없다.

두 손은 가슴 부근에 위치하고 있는데, 불상의 하반신 부분이 땅에 묻혀 있어 전체적인 형태나 규모를 자세히는 알 수 없다.

머리는 둥근 편으로 왼쪽부터 앞이마까지 다소 깎여 평평한데 이는 조각할 당시의 모습으로 보인다. 눈 부위는 얕게 조각하였으며, 입가는 미소가 뚜렷하고 두 볼은 풍만하다.

불상이 자리한 이 곳은 ‘노온사’라는 절의 옛 터라고 전하지만 확실한 근거는 없다.

주변에서는 연꽃무늬가 새겨진 고려시대의 기와 조각이 발견되었다.

  • 기울임꼴 글씨 넣을 것인지(분량 문제) 고민 필요.
  • 사진 상으로는 ‘한 손’만 분명하게 확인되므로, 문구 고민 필요함.
  • 삼도가 희미하게 표현되었다고 설명하는 경우도 있으나, 사진 상으로는 확인 불가능함.

참고 자료

-> 문화재 기본 정보

-> 문화재 상세 사진

-> 2018년 사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