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경주 최진립 정려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경주최진립정려비.jpg |사진출처=[http://museum.buddhism.or.kr/?m=bbs&p=26&uid=597 경주 잠와 최진립 정려비], 불교중...)
 
6번째 줄: 6번째 줄:
 
|영문명칭=
 
|영문명칭=
 
|한자=慶州 崔震立 旌閭碑
 
|한자=慶州 崔震立 旌閭碑
|주소=경상북도 경주시
+
|주소=경상북도 경주시 내남면 이조리 226
 
|소장처=
 
|소장처=
 
|지정번호=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567호
 
|지정번호=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567호
33번째 줄: 33번째 줄:
 
----
 
----
 
* 청백리(淸白吏): 관직 수행 능력과 청렴, 근검, 도덕, 효행, 인의 등의 덕목을 겸비한 이상적인 관료상.
 
* 청백리(淸白吏): 관직 수행 능력과 청렴, 근검, 도덕, 효행, 인의 등의 덕목을 겸비한 이상적인 관료상.
 +
 +
* <font color="tomato"></font>
  
 
===영문===
 
===영문===
40번째 줄: 42번째 줄:
  
 
===영문 해설 내용===
 
===영문 해설 내용===
 +
조선시대의 무신 최진립(1568-1637)의 충절을 기리기 위해 1707년에 건립된 정려비이다.
 +
 +
가암마을 북쪽에 세워진 조선 중기의 무신 잠와 최진립(潛窩 崔震立, 1568~1636)의 정려비이다. 인조가 정려하여 황호의 찬, 김광욱의 서, 신익전의 전으로 비문이 작성되었지만 비는 1707년에 건립되었다.
  
 +
비는 비머리, 비몸, 하대석까지 모두 화강석으로 전체 높이는 230cm이다. 이수형 비머리에 연화문의 하대석을 한 형식은 경주 소재 비석 중에서 희귀한 예이다. 1313자의 비문은 마모되어 판독되지 않은 글자가 다수 있다. 비각은 정면 1칸, 측면 1칸의 맞배지붕 구조로, 현판에는 「정무공최선생지려(貞武公催先生之閭)」라고 새겨져 있다.
  
 +
최진립은 임진왜란 때 작은 아버지 최봉천(崔奉天), 동생 최계종(崔繼宗)과 함께 의병을 일으켜 공을 세웠다. 병자호란에도 참전하여 용인 험천(險川)에서 전사하였다. 자헌대부 병조판서에 추증되고 청백리(淸白吏)*로 기록되었고, 병조판서에 추증되었다. 저서로 《정무공실기(貞武公實記)》 2권이 있다.
 +
 +
가암마을은 최진립 장군이 기거하던 곳이라 한다. 이 정려비와 함께 충의당(忠義堂), 용산서원(龍山書院), 신도비, 장군이 심었다는 회나무 등이 있어 숭렬(崇烈)의 의미를 지닌 전통마을이다.
 +
 +
----
 +
* 청백리(淸白吏): 관직 수행 능력과 청렴, 근검, 도덕, 효행, 인의 등의 덕목을 겸비한 이상적인 관료상.
  
  
 
=='''참고자료'''==
 
=='''참고자료'''==
 
* 경주 잠와 최진립 정려비, 불교중앙박물관. http://museum.buddhism.or.kr/?m=bbs&p=26&uid=597  
 
* 경주 잠와 최진립 정려비, 불교중앙박물관. http://museum.buddhism.or.kr/?m=bbs&p=26&uid=597  
 
+
* (경상북도 공고 제2021-1547호)도지정문화재 지정예고, 고시/공고, 경주시청. https://www.gyeongju.go.kr/open_content/ko/page.do?mnu_uid=423&parm_bod_uid=220030&step=258
  
  

2022년 5월 18일 (수) 15:51 판


경주 최진립 정려비
경주 잠와 최진립 정려비, 불교중앙박물관.
대표명칭 경주 최진립 정려비
한자 慶州 崔震立 旌閭碑
주소 경상북도 경주시 내남면 이조리 226
지정번호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567호
지정일 2021년 12월 20일
분류 유적건조물
시대 조선시대
수량/면적 1기
웹사이트 경주 최진립 정려비,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가암마을 북쪽에 세워진 조선 중기의 무신 잠와 최진립(潛窩 崔震立, 1568~1636)의 정려비이다. 인조가 정려하여 황호의 찬, 김광욱의 서, 신익전의 전으로 비문이 작성되었지만 비는 1707년에 건립되었다.

비는 비머리, 비몸, 하대석까지 모두 화강석으로 전체 높이는 230cm이다. 이수형 비머리에 연화문의 하대석을 한 형식은 경주 소재 비석 중에서 희귀한 예이다. 1313자의 비문은 마모되어 판독되지 않은 글자가 다수 있다. 비각은 정면 1칸, 측면 1칸의 맞배지붕 구조로, 현판에는 「정무공최선생지려(貞武公催先生之閭)」라고 새겨져 있다.

최진립은 임진왜란 때 작은 아버지 최봉천(崔奉天), 동생 최계종(崔繼宗)과 함께 의병을 일으켜 공을 세웠다. 병자호란에도 참전하여 용인 험천(險川)에서 전사하였다. 자헌대부 병조판서에 추증되고 청백리(淸白吏)*로 기록되었고, 병조판서에 추증되었다. 저서로 《정무공실기(貞武公實記)》 2권이 있다.

가암마을은 최진립 장군이 기거하던 곳이라 한다. 이 정려비와 함께 충의당(忠義堂), 용산서원(龍山書院), 신도비, 장군이 심었다는 회나무 등이 있어 숭렬(崇烈)의 의미를 지닌 전통마을이다.


  • 청백리(淸白吏): 관직 수행 능력과 청렴, 근검, 도덕, 효행, 인의 등의 덕목을 겸비한 이상적인 관료상.

영문

영문 해설 내용

조선시대의 무신 최진립(1568-1637)의 충절을 기리기 위해 1707년에 건립된 정려비이다.

가암마을 북쪽에 세워진 조선 중기의 무신 잠와 최진립(潛窩 崔震立, 1568~1636)의 정려비이다. 인조가 정려하여 황호의 찬, 김광욱의 서, 신익전의 전으로 비문이 작성되었지만 비는 1707년에 건립되었다.

비는 비머리, 비몸, 하대석까지 모두 화강석으로 전체 높이는 230cm이다. 이수형 비머리에 연화문의 하대석을 한 형식은 경주 소재 비석 중에서 희귀한 예이다. 1313자의 비문은 마모되어 판독되지 않은 글자가 다수 있다. 비각은 정면 1칸, 측면 1칸의 맞배지붕 구조로, 현판에는 「정무공최선생지려(貞武公催先生之閭)」라고 새겨져 있다.

최진립은 임진왜란 때 작은 아버지 최봉천(崔奉天), 동생 최계종(崔繼宗)과 함께 의병을 일으켜 공을 세웠다. 병자호란에도 참전하여 용인 험천(險川)에서 전사하였다. 자헌대부 병조판서에 추증되고 청백리(淸白吏)*로 기록되었고, 병조판서에 추증되었다. 저서로 《정무공실기(貞武公實記)》 2권이 있다.

가암마을은 최진립 장군이 기거하던 곳이라 한다. 이 정려비와 함께 충의당(忠義堂), 용산서원(龍山書院), 신도비, 장군이 심었다는 회나무 등이 있어 숭렬(崇烈)의 의미를 지닌 전통마을이다.


  • 청백리(淸白吏): 관직 수행 능력과 청렴, 근검, 도덕, 효행, 인의 등의 덕목을 겸비한 이상적인 관료상.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