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물지3(강진 월남사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개별안내판 |사진= |사진출처= |대표명칭= |한자= |영문명칭= |종합안내판=강진 월남사지 |위도= |경도= }} =='''해설문'''== ===국문=== ===영문...)
 
2번째 줄: 2번째 줄:
 
|사진=
 
|사진=
 
|사진출처=
 
|사진출처=
|대표명칭=
+
|대표명칭=건물지 3
|한자=
+
|한자=建物址 3
|영문명칭=
+
|영문명칭=Building Site No. 3
 
|종합안내판=강진 월남사지
 
|종합안내판=강진 월남사지
 
|위도=
 
|위도=
12번째 줄: 12번째 줄:
 
=='''해설문'''==
 
=='''해설문'''==
 
===국문===
 
===국문===
 +
건물지는 건물이 있던 터이다. 건물지 3은 월남사지의 중심 건물이었던 금당지(金堂址)의 서쪽에 있다. 발굴 조사 결과, 이곳은 스님들이 일상생활을 하는 승방(僧房)으로 확인되어 서승방지西僧房址로 추정한다. 건물지의 규모는 정면(남북) 39.5~45m, 측면(동서) 8.5~9m로 확인하였다. 발굴 조사 때에 서승방지 주변에서 아귀구(餓鬼口)로 추정하는 기와 유물이 나왔다.
 +
 +
----
 +
*금당지: 금당으로 추정하는 건물터. 금당이란 부처님을 모신 절의 중심 건물로 예배, 기도 등 의식을 진행하는 공간
 +
*승방: 스님들이 생활하고 수행하는 건물
 +
*아귀구: 아귀란 배가 산처럼 크고 목구멍은 바늘처럼 좁아 늘 배고픔의 고통을 당하는 존재. 아귀는 스님들이 발우공양(스님들의 식사. 수행의 한 모습) 후 발우(스님들이 식사 때에 쓰는 그릇)를 닦고 남은 청수물만 마실 수 있다. 아귀구는 아귀가 마실 수 있도록 청수물을 버리는 곳
  
 
===영문===
 
===영문===
 +
'''Building Site No. 3'''
  
 
===영문 해설 내용===
 
===영문 해설 내용===
 
+
건물지3은 월남사의 중심 건물이었던 금당지 서쪽에 있으며, 스님들이 생활하고 수행하던 승방이 있던 것으로 추정된다. 건물지의 규모는 정면 길이 39.5~45m, 측면 길이 8.5~9m 이다. 이 건물지 주변에서는 스님들이 식사를 한 후 그릇을 헹군 물을 버리던 곳으로 추정되는 기와 유물이 출토되었다.
  
  

2021년 1월 4일 (월) 01:54 판

건물지 3 建物址 3
Building Site No. 3
Goto.png 종합안내판: 강진 월남사지



해설문

국문

건물지는 건물이 있던 터이다. 건물지 3은 월남사지의 중심 건물이었던 금당지(金堂址)의 서쪽에 있다. 발굴 조사 결과, 이곳은 스님들이 일상생활을 하는 승방(僧房)으로 확인되어 서승방지西僧房址로 추정한다. 건물지의 규모는 정면(남북) 39.5~45m, 측면(동서) 8.5~9m로 확인하였다. 발굴 조사 때에 서승방지 주변에서 아귀구(餓鬼口)로 추정하는 기와 유물이 나왔다.


  • 금당지: 금당으로 추정하는 건물터. 금당이란 부처님을 모신 절의 중심 건물로 예배, 기도 등 의식을 진행하는 공간
  • 승방: 스님들이 생활하고 수행하는 건물
  • 아귀구: 아귀란 배가 산처럼 크고 목구멍은 바늘처럼 좁아 늘 배고픔의 고통을 당하는 존재. 아귀는 스님들이 발우공양(스님들의 식사. 수행의 한 모습) 후 발우(스님들이 식사 때에 쓰는 그릇)를 닦고 남은 청수물만 마실 수 있다. 아귀구는 아귀가 마실 수 있도록 청수물을 버리는 곳

영문

Building Site No. 3

영문 해설 내용

건물지3은 월남사의 중심 건물이었던 금당지 서쪽에 있으며, 스님들이 생활하고 수행하던 승방이 있던 것으로 추정된다. 건물지의 규모는 정면 길이 39.5~45m, 측면 길이 8.5~9m 이다. 이 건물지 주변에서는 스님들이 식사를 한 후 그릇을 헹군 물을 버리던 곳으로 추정되는 기와 유물이 출토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