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구포왜성

Heritage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4년 9월 6일 (금) 11:13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구포왜성
대표명칭 구포왜성
한자 龜浦倭城
주소 부산광역시 북구 덕천1동 산93번지
지정(등록) 종목 부산광역시 기념물
지정(등록)일 1972년 6월 26일
분류 유적건조물/정치국방/성/성곽
수량/면적 37,739㎡
웹사이트 구포왜성, 국가유산포털, 국가유산청.



해설문

국문

구포왜성은 선조 26년(1593) 일본군이 금정산 서남쪽에 있는 독립된 구릉 정상부에 쌓은 일본식 성으로, 김해 죽도왜성(竹島倭城)의 지성(枝城)*이다.

이 성은 서쪽으로 낙동강을 끼고 있는 요충지로, 김해 죽도왜성, 물금 증산왜성 등과 선박을 이용해 서로 연락을 주고받거나 전쟁 물자 보급과 병력 이동 등을 고려하여 쌓은 거점 왜성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성은 내성과 외성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내성에는 주변 지형을 따라 8개의 성곽을 배치하였다. 그 가운데 성곽 3개의 남쪽 출입문은 낙동강변과 연결되어 있다. 성벽은 비스듬하게 경사져 있으며,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올라가면서 나사 모양으로 감돌아 쌓은 모양이다.

구포왜성은 감동포성(甘同浦城), 구법곡(九法谷)의 진(陣)이라고도 하는데 지역 주민들은 의성(義城)이라고도 부른다. ‘의성’은 신라의 장수였던 황룡 장군이 왜구의 침략에 대항하여 오백 명을 군사를 이끌고 성을 지키다가 장렬하게 최후를 맞이하였다는 전설에서 비롯된 명칭이다.


  • 지성(枝城): 원래의 성 밖에 따로 지은 작은 성.

영문

영문 해설 내용

구포왜성은 임진왜란 당시인 1593년, 부산 지역에 주둔하던 일본군이 일본식으로 축조한 석성이다. 금정산 서남쪽에 있는 독립된 구릉 정상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서쪽으로 낙동강을 끼고 있어 전략적 요충지로 활용되었다. 구포왜성은 서쪽으로 약 10km 떨어진 곳에 있는 죽도왜성의 지성(枝城)으로 지어졌으며, 죽도왜성과 북쪽의 증산리 왜성 등과 선박을 이용해 서로 연락을 주고받거나, 전쟁 물자를 보급하고 병력 이동을 지원하는 등의 거점 역할을 하였다.

이 성은 내성과 외성으로 이루어져 있고, 내성에는 주변 지형을 따라 8개의 성곽을 배치하였다. 그 가운데 성곽 3개의 남쪽 출입문은 낙동강변과 연결되어 있다. 성벽은 비스듬하게 경사져 있으며,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올라가면서 나사 모양으로 감돌아 쌓은 모양이다.

지역 주민들은 구포왜성을 “의로운 성”이라는 뜻의 의성(義城)이라고도 부른다. 신라시대에도 이곳에 성이 있었는데, 당시 황룡 장군이 왜구의 침략에 대항하여 500여 명의 군사를 이끌고 성을 지키다가 장렬하게 최후를 맞이하였다는 데에서 비롯된 명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