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강 신도비
Heritage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4년 3월 28일 (목) 10:00 판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심강신도비.jpg |사진출처=[https://ggc.ggcf.kr/p/5bc365122fe91a16f080c5b9 심강 신도비], 경기도문화재 : 육구삼+ Series,...)
심강 신도비 |
|
![]() 심강 신도비, 경기도문화재 : 육구삼+ Series, 경기문화재단. |
|
대표명칭 | 심강 신도비 |
---|---|
한자 | 沈鋼 神道碑 |
주소 | 경기도 김포시 통진읍 옹정리 58-12 |
지정(등록) 종목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47호 |
지정(등록)일 | 1992년 12월 31일 |
분류 | 기록유산/서각류/금석각류/비 |
시대 | 조선시대 |
수량/면적 | 1기 |
웹사이트 | 심강 신도비,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
해설문
국문
조선시대 문신으로 영의정 심연원(沈連源)의 아들이자 명종의 장인인 심강(沈鋼, 1514~1567)의 신도비로 사후 30여년 후인 1596년 선조 때 세워졌다.
신도비란 종2품 이상의 벼슬이나 훌륭한 학자에게 허용되었던 비석으로 2단의 바닥돌 위로 거북받침, 비신, 머릿돌을 올린 모습으로 당시 유행했던 양식을 잘 따르고 있다. 받침의 거북 머리가 동쪽을 향하고 있는 점이나 거북의 머리가 180도 비틀어져 뒤를 바라보고 있는 형태가 매우 특이하다.
심강(沈鋼)은 1543년 중종 때 진사시에 합격하였고 1545년 명종이 즉위하면서 딸이 왕비(인순왕후)가 되자 청릉부원군(靑陵府院君)에 봉해졌다. 이후 영돈령부사(領敦寜府事), 오위도총부도총관(五衛都摠府都總管) 등을 역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