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정각
Heritage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9년 8월 3일 (토) 22:20 판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오정각.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3413100070000 오정각]", 국가문화유산...)
오정각 |
|
대표명칭 | 오정각 |
---|---|
한자 | 五旌閣 |
주소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화정동 29 |
지정(등록) 종목 | 문화재자료 제7호 |
지정(등록)일 | 1983년 9월 19일 |
분류 | 유적건조물/인물사건/인물기념/사우 |
수량/면적 | 1동 |
웹사이트 | "오정각",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
|
해설문
국문
정문(旌門)이란 충신·효자·열녀 등을 표창하고자 마을 입구나 집 문 앞에 세우던 붉은 문을 말한다. 오정각(五旌閣)은 김문기(金文起)와 그의 아들 김현석에 대한 충신 정문과 손자인 김충주, 증손자인 김경남, 고손인 김약전 세 사람의 효자 정문을 모신 곳이다.
현재의 이 건물은 조선 고종 7년(1870)에 후손들이 오세충효 정각(五世忠孝 旌閣)을 건립한 뒤 국가 보조와 종친들의 성금으로 몇 차례 중수하여 보전하고 있다.
김문기는 세종 8년(1426)에 문과에 급제한 뒤 여러 관직을 거처 세조 원년에 공조판서(工曹判書) 겸 삼군도진무(三軍都鎭撫)가 되었으나 성삼문, 박팽년 등과 단종 복위를 꾀할 때 병력 동원을 책임진 사실이 적발되어 처형되었다. 그 후 영조 33년에 충의공이라는 시호가 내려졌다. 그 아들 김현석은 영월군수로 재임 중 아버지와 같이 순절하였다. 손자인 김충주는 형인 충립(忠立)과 함께 노비가 되어 상주(尙州)로 가는 도중 삼수점(三水店)에서 도망하여 이 곳 마하산에 숨어 숯을 구어 생계를 유지하였다.
후손들은 선조인 김충주가 망월암에 올라가 영월 쪽을 바라보며 단종과 할아버지·아버지를 생각하면서 눈물을 흘리며 일생을 보내어 그 곳에 있던 소나무가 말라죽었다 하여 그가 살던 집터에 고송정을 지었다. 아들인 김경남과 손자인 김약전도 효성이 지극하여 3대가 효자로 일컬어져 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