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진주관(삼척도호부 관아지)

Heritage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3년 5월 6일 (토) 12:10 판 (새 문서: {{진행중}} {{개별안내판 |사진= |사진출처= |대표명칭=진주관 |한자=眞珠觀 |영문명칭= |종합안내판=삼척도호부 관아지 |위도= |경도= }} =='''...)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진주관 眞珠觀
Goto.png 종합안내판: 삼척도호부 관아지



해설문

국문

진주관(眞珠觀)은 전면 3칸 측면 2칸으로 이루어진 삼척도호부 관아 안에 있는 객사의 중심 건물로 매월 초하루와 보름에 임금이 계신 궁궐을 향해 절을 하는 의식을 치르던 공간이다. 각 고을의 객사는 고유의 이름을 가지고 있는데, 삼척도호부 관아의 객사가 진주관인 것은 삼척의 옛 이름이 진주(眞珠)였기 때문이다. 특이한 점은 건물 이름에 객사를 뜻하는 한자인 ‘객사 관(館)’이 아니고 ‘볼 관(觀)’을 썼다는 것이다. 아마도 삼척도호부 관아와 객사가 있는 장소가 오십천(五十川)과 죽서루(竹西樓), 응벽담(凝碧潭) 등이 가까이 있어 자연경관이 빼어났기 때문에 이러한 이름을 붙인 것으로 추정한다.

삼척도호부 관아의 객사는 원래 죽서루 밑에 있었으나, 1517년(중종 12)에 부사 남순종(南順宗)이 지금의 자리로 옮겨 짓고 진주관이라 이름을 붙였다. 이후 여러 차례 고치고 다시 짓는 과정을 거쳐 왔다. 1908년부터는 행정구역의 변경으로 삼척군청 건물로 사용되었다가 1911년에는 진주관에 있던 궐패(闕牌)*와 전패(殿牌)**를 강원도청으로 옮기게 되었다. 1934년에 삼척도호부 객사의 목조 건물을 헐고 그 자리에 조적조***의 삼척군청 건물을 새롭게 지었다. 이후 1982년 삼척군청은 다른 곳으로 이전하였다.

삼척시는 2010년부터 문화재청으로부터 지원받아 삼척도호부 관아지 발굴조사를 시작으로 여러 차례의 발굴조사를 진행한 결과를 근거로 하여 객사인 진주관을 현재의 모습으로 복원하였다.


  • 궐패(闕牌): 조선 시대에, 중국 황제를 상징한 ‘闕’ 자를 새긴 위패 모양의 나무패.
  • 전패(殿牌): 임금을 상징하는 ‘殿’ 자를 새겨 각 고을의 객사(客舍)에 세운 나무패. 공무(公務)로 간 관리나 그 고을 원이 절을 하고 예(禮)를 표시하였다.
  • 조적조(組積造): 돌, 벽돌, 콘크리트 블록 등으로 쌓아 올려서 벽을 만드는 건축 구조.

영문

영문 해설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