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양향교 대성전

Heritage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3년 1월 19일 (목) 11:25 판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밀양향교 대성전
Daeseongjeon Shrine of Miryanghyanggyo Local Confucian School
밀양향교 대성전,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밀양향교 대성전
영문명칭 Daeseongjeon Shrine of Miryanghyanggyo Local Confucian School
한자 密陽鄕校 大成殿
주소 경상남도 밀양시 밀양향교3길 19 (교동)
지정(등록) 종목 보물 제2094호
지정(등록)일 2020년 12월 28일
분류 유적건조물/교육문화/교육기관/향교
시대 조선시대
수량/면적 1동
웹사이트 밀양향교 대성전,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향교는 유교의 성현(聖賢)을 받들고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나라에서 지방에 설립한 교육기관이다. 밀양향교 대성전은 공자와 그의 제자, 중국과 우리나라의 이름 높은 유학자들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는 공간이다.

임진왜란 때 불타 없어졌으나 밀양 부사 최기(崔沂)가 1602년 현재 위치로 옮겨 지었고, 부사 이현시(李玄始)가 1821년 고쳐 지었다. 정면 3칸, 측면 2칸 규모에 맞배지붕을 하고 있다.

대성전을 옮길 때 처마 끝의 무게를 받치면서 기둥으로 전달하는 공포(栱包)를 앞면은 새로 만들고 뒷면은 원래 있던 것을 활용했다. 200년 시차를 둔 조선 중ㆍ후기 건축 기술의 흐름과 특징을 한꺼번에 보여줌으로써 두 건축양식이 공존하는 미적, 역사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제례 공간인 대성전과 교육 공간인 명륜당이 각기 다른 방향을 바라보도록 한 자리 배치는 국내에서 밀양향교가 유일하다. 매년 음력 2월과 8월에 석전대제를 봉행한다.

영문

Daeseongjeon Shrine of Miryanghyanggyo Local Confucian School

Daeseongjeon, meaning “Hall of the Great Sage,” is the main shrine of a local Confucian school. It houses the spirit tablets of Confucius and other Confucian sages and men of virtue.

Daeseongjeon Shrine of Miryanghyanggyo Local Confucian School was built in 1602 by the local magistrate Choe Gi (1553-1616) and repaired in 1821 by the local magistrate Yi Hyeon-si. As it retains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from both the early 17th and early 19th centuries, the building holds great aesthetic and historical value. A veneration ritual is held at the shrine in the 2nd and 8th lunar months.

Local Confucian schools, called hyanggyo in Korean, were established across the country to promote Confucian education and veneration. A local Confucian school typically consists of an education area in the front and a veneration area in the rear, with both areas facing the same direction. Miryanghyanggyo Local Confucian School is unique among local Confucian schools, as its south-facing veneration area is situated to the rear left of its southeast-facing education area.

Long Version

Daeseongjeon, meaning “Hall of the Great Sage,” is the main shrine of a local Confucian school. It houses the spirit tablets of Confucius and other Confucian sages and men of virtue.

Daeseongjeon Shrine of Miryanghyanggyo Local Confucian School was built in 1602 by the local magistrate Choe Gi (1553-1616) and repaired in 1821 by the local magistrate Yi Hyeon-si. The shrine’s gable roof is supported by intricate brackets installed atop the pillars. The brackets along the front date to the 1821 repair, while those along the back are presumed to date to the 1602 construction. Thus, the building holds great aesthetic and historical value as it simultaneously shows the characteristic architectural techniques of both the early 17th and early 19th centuries. A veneration ritual for Confucius is held at the shrine in the 2nd and 8th lunar months. Located in front of Daeseongjeon Shrine are two auxiliary shrines and an inner gate quarters, which together comprise the school’s veneration area.

A local Confucian school, called hyanggyo in Korean, is a public education institution of the Goryeo (918-1392) and Joseon (1392-1910) periods. Such schools were established in jurisdictions across the country to promote Confucian education and nurture local elites while also serving as a local Confucian shrine. It is unknown exactly when Miryanghyanggyo Local Confucian School was first established, but the complex was destroyed during the Japanese invasions of 1592-1598 and rebuilt shortly thereafter.

A local Confucian school typically consists of an education area in the front and a veneration area in the rear, with the two areas both facing the same direction. However, in accordance with the natural terrain, the veneration area of Miryanghyanggyo Local Confucian School is located to the rear left of the education area, with the veneration area facing south and the education area facing southeast. It is the only example of such a layout among local Confucian schools in Korea.

영문 해설 내용

대성전은 ‘위대한 현자를 모시는 전각’이라는 뜻으로, 향교의 주 사당이다. 이곳에는 공자를 비롯한 유교 성현들의 위패를 모신다.

밀양향교 대성전은 1602년 밀양부사 최기(1553-1616)가 지었고, 1821년 부사 이현시가 고쳐 지었다. 이 건물은 17세기 초와 19세기 초의 건축적 특징이 모두 공존하고 있어 미적, 역사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매년 음력 2월과 8월에 석전대제를 봉행한다.

향교는 유교 성현을 받들고 인재를 교육하기 위해 전국에 세워졌다. 일반적으로 향교는 앞쪽의 강학공간과 뒤쪽의 제향공간으로 이루어지며, 두 공간은 같은 방향을 바라보게 배치된다. 밀양향교는 남향의 제향공간이 남동향의 교육공간 왼쪽 뒤편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러한 배치는 밀양향교가 유일하다.

갤러리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