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암 남성신수비(남한산성)

Heritage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3년 1월 18일 (수) 15:17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병암 남성신수비 屛岩 南城新修碑
Record of the Reconstruction of Namhansanseong Fortress on Byeongam Rock
Goto.png 종합안내판: 남한산성



해설문

국문

병암 남성신수비는 정조 3년(1779)에 남한산성을 증·개축하기 위한 수어사 서명응의 건의와 공사에 참여한 광주부윤 이명중 이하 여러 관리들의 명단, 그리고 공사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비문에는 당시 돈 1만 냥에 쌀 900석의 재정을 투입하였으며, 벽돌을 구운 사람, 나무를 공급한 사람, 운반을 맡은 사람 등이 기록되어 있다. 특히, 보수 구역을 18개로 나누어 해당 구역에 각각의 이름을 기록하였다고 한다. 또한 성안의 남녀노소가 공사를 도와 50여 일이 걸렸다고 하는 것으로 보아 산성리 마을 사람들이 공사에 참여하였음을 알 수 있다.

병암 남성신수비는 세계문화유산 남한산성의 탁월한 보편적 가치 중 하나인 민속경관(석조물)에 해당한다.

영문

Record of the Reconstruction of Namhansanseong Fortress on Byeongam Rock (Namhansanseong Fortress)

This inscription engraved onto Byeongam Rock records information about the expansion and reconstruction of Namhansanseong Fortress in 1779. This reconstruction project was put forth by the resident defense commander Seo Myeong-eung (1716-1787) and supervised by the local magistrate Yi Myeong-jung (1712-1789). The project was completed in about 50 days through the participation of administrative officials and local residents.

The inscription lists not only the names of the officials in charge, but also the names of ordinary people who contributed in various ways, such as by baking bricks, providing timber, and overseeing logistics. In particular, the names are listed under 18 different sections, which correspond to the section of the wall on which they worked.

When Namhansanseong Fortress was inscribed on the UNESCO World Heritage List in 2014, its various structures were classified as part of its military, administrative, or folk landscapes. This monument was recognized as an integral component of the fortress’s folk landscape.

영문 해설 내용

병암에 새겨진 이 명문은 1779년 남한산성을 증·개축한 내용을 기록한 것이다. 이 공사는 남한산성 수어청의 군사책임자였던 서명응(1716-1787)이 건의하여 이루어졌으며, 광주부윤 이명중(1712-1789)과 여러 관리들, 산성 안 마을 사람들이 참여하여 약 50일 동안 진행되었다.

비문에는 관리들의 명단 외에도 벽돌을 구운 사람, 나무를 공급한 사람, 운반을 맡은 사람 등 공사에 참여한 사람들의 명단이 기록되어 있다. 특히 보수 구역을 18개로 나누어 해당 구역에서 일한 사람들의 이름을 각각 기록하였다.

2014년 남한산성이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던 당시 남한산성의 여러 경관 요소를 군사, 통치, 민속으로 구분하였는데, 이 비석은 그중 민속경관에 해당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