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양향교 명륜당
Heritage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3년 1월 11일 (수) 08:45 판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밀양향교명륜당.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123820950000 밀양향교 명륜당...)
밀양향교 명륜당 Myeongnyundang Lecture Hall of Miryanghyanggyo Local Confucian School |
|
![]() 밀양향교 명륜당,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
|
대표명칭 | 밀양향교 명륜당 |
---|---|
영문명칭 | Myeongnyundang Lecture Hall of Miryanghyanggyo Local Confucian School |
한자 | 密陽鄕校 明倫堂 |
주소 | 경상남도 밀양시 밀양향교3길 19 (교동) |
지정(등록) 종목 | 보물 제2095호 |
지정(등록)일 | 2020년 12월 28일 |
분류 | 유적건조물/교육문화/교육기관/향교 |
시대 | 조선시대 |
수량/면적 | 1동 |
웹사이트 | 밀양향교 명륜당,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
해설문
국문
향교는 유교의 성현(聖賢)을 받들고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나라에서 지방에 설립한 교육기관이다. 밀양향교 명륜당은 유생을 교육하던 공간으로 ‘명륜(明倫)’은 ‘인간 사회의 윤리를 밝힌다’는 뜻이다.
임진왜란 때 불에 타 없어진 것을 1618년 다시 지었다. 맞배지붕에 정면 5칸, 측면 2칸 규모이다. 가운데 세 칸에는 대청마루를 넓게 넣고 양쪽 끝에는 방을 배치했다. 마루 좌우에 방을 넣는 중당협실형(中堂夾室型) 구조는 규모가 큰 명륜당에서 흔히 볼 수 있다. 기단은 자연석을 쌓아 만들었다.
중건 이후 여러 차례 수리를 했음에도 경남 지역 향교 건축물 중에서 보존 상태가 양호해 조선 중기 명륜당의 건축 특성을 이해하기에 좋은 자료이다. 새 날개 모양을 하고 기둥 위에서 보를 받쳐주고 있는 익공(翼栱)은 17세기 모습 그대로이다. 명륜당 앞에는 기숙사인 동재(東齋)와 서재(西齋)가 마주 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