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해 일신재
김해 일신재 |
|
대표명칭 | 김해 일신재 |
---|---|
한자 | 金海 日新齋 |
주소 | 경상남도 김해시 덕정로77번길 11-8 (관동동) |
지정(등록) 종목 |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549호 |
지정(등록)일 | 2012년 10월 11일 |
분류 | 유적건조물/주거생활/주거건축/가옥 |
수량/면적 | 2동/196 |
웹사이트 | 김해 일신재,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
해설문
국문
일신재(日新齋)는 월헌 이보림이 김해시 관동동에 지은 주택이다.
이보림은 율곡 이이, 우암 송시열, 간재 전우, 석농 오진영으로 이어지는 영남 기호학파의 후예로서 200여명의 문하생을 배출한 김해의 대표적 유학자이다.
사랑채에‘일신재(日新齋)’현관이 붙어 있는데, 수학을 통해 날마다 새로워지겠다는‘일신우일신(日新又日新)’의 각오를 담고 있다. 안채는 현대 생활의 필요에 따라 부엌 바닥을 높여 싱크대를 설치하고, 배면으로 시멘트 구조물을 달아내는 등 부분적 변형이 있지만, 원형이 크게 훼손되지는 않았다. 안채 옆에 남아있는 장독대와 지붕으로 덮은 우물은 주택의 생활상을 잘 보여준다.
일신재는 전통한옥이 근대가 되면서 어떻게 변해가는지를 잘 보여준다. 일제강점기에 학생들에게 유학을 가르쳤던 이보림을 기리는 김해 관동리 월봉서원과 함께 보존가치가 있는 근대유산이다.
영문
Ilsinjae Hall, Gimhae
Ilsinjae Hall is a private house built by Confucian scholar Yi Bo-rim (1903-1972, pen name: Wolheon). In the 20th century, Yi Bo-rim was a representative Confucian scholar from the Gimhae area who devoted his life to his academic achievements and the education of his students, producing around 200 disciples. In the rear of Ilsinjae Hall is Wolbongseowon Confucian Academy which honors Yi Bo-rim.
A wooden plaque which reads "Ilsinjae (日新齋)" is attached along the front side of the men’s quarters. This is a name included in "Ilsinuilsin (日新又日新)", "a gradually newer day" which implies that academic achievements renew every day.
The women’s quarters has partial changes such as a kitchen with an elevated floor equipped with a sink and cement structures added on the back, but largely, its original appearance was not damaged. An earthenware jar platform and a well covered with roof remain next to the women’s quarters.
Ilsinjae Hall displays well the changes in traditional Korean-style houses over time.
영문 해설 내용
일신재는 유학자 이보림(1903-1972, 호: 월헌)이 지은 주택이다. 이보림은 20세기 김해 지역의 대표적인 유학자로, 평생 학문과 후학 교육에 힘쓰며 200여 명의 문하생을 배출하였다. 일신재 뒷편에는 이보림을 기리는 월봉서원이 있다.
사랑채 앞면에는‘일신재(日新齋)’라고 쓴 현판이 붙어 있다. 이는 “날이 갈수록 더욱 새로워진다”는 ‘일신우일신(日新又日新)’에서 비롯된 이름으로, 학문을 통해 날마다 새로워지겠다는 각오를 담고 있다.
안채는 부엌 바닥을 높여 싱크대를 설치하고, 뒷면에 시멘트 구조물을 덧붙이는 등 부분적으로 변형이 있지만, 원형이 크게 훼손되지는 않았다. 안채 옆에는 장독대와 지붕으로 덮은 우물이 남아 있다.
일신재는 전통 한옥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모습을 잘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