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김해 흥부암 석조보살좌상

HeritageWiki
Mkichukova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2년 12월 2일 (금) 06:27 판 (영문)

이동: 둘러보기, 검색


김해 흥부암 석조보살좌상
김해 흥부암 석조보살좌상,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김해 흥부암 석조보살좌상
한자 金海 興府庵 石造菩薩坐像
주소 경상남도 김해시 전하로 269-74 (외동)
지정번호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459호
지정일 2009년 3월 5일
분류 유물/불교조각/석조/보살상
시대 조선시대
수량/면적 1구
웹사이트 김해 흥부암 석조보살좌상,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흥부암 석조보살좌상은 김해시 외동 흥부암에 있는 조선 후기의 불상이다.

불상은 몸에 비해 머리가 커서 어린아이처럼 보이지만 얼굴은 매우 엄격한 인상을 준다. 머리에 보관을 썼고 법의는 변형된 통견*으로 도식적이면서도 둔탁한 느낌을 준다. 오른손은 무릎 위에 얹어 손바닥을 위로 하여 엄지와 중지를 맞대었고, 왼손은 아래로 향하게 하였다. 수인의 형태로 보아 원래 삼존상의 우협시 보살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18세기 불상 조각의 양식적 특징과 변화상을 살필 수 있는 자료이다.


  • 통견: 불상이나 승려의 옷 모양새 가운데 양 어깨를 모두 덮은 경우를 이름

영문

Stone Seated Bodhisattva of Heungbuam Hermitage, Gimhae

This stone bodhisattva is presumed to have been made around the 18th century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1392-1910).

The head is comparatively larger than the body, so it looks like a small child, but the face gives a very strict impression. He wears a headdress and his robe drapes over both shoulders, evoking a formulaic, yet blunt feeling. The right hand is placed on the lap with the palm upward and the thumb and middle finger put together, while the left hand faces downward. It is presumed to have originally been made as an attendant bodhisattva of a triad.

Characteristics featured in buddha statues of the 18th century can be seen in it.

영문 해설 내용

이 석조보살상은 조선 후기인 18세기 무렵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몸에 비해 머리가 커서 어린아이처럼 보이지만 얼굴은 매우 엄격한 인상을 준다. 머리에 보관을 썼고, 양 어깨를 덮은 법의는 도식적이면서도 둔탁한 느낌을 준다. 오른손은 무릎 위에 얹어 손바닥을 위로 하여 엄지와 중지를 맞대었고, 왼손은 아래로 향하게 하였다. 원래 삼존상의 협시 보살로 만들어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18세기 불상 조각의 양식적 특징을 살필 수 있는 자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