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해 일신재
Heritage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2년 11월 29일 (화) 16:07 판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김해일신재.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3413805490000 김해 일신재], 국가문...)
김해 일신재 |
|
![]() 김해 일신재,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
|
대표명칭 | 김해 일신재 |
---|---|
한자 | 金海 日新齋 |
주소 | 경상남도 김해시 덕정로77번길 11-8 (관동동) |
지정(등록) 종목 |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549호 |
지정(등록)일 | 2012년 10월 11일 |
분류 | 유적건조물/주거생활/주거건축/가옥 |
수량/면적 | 2동/196 |
웹사이트 | 김해 일신재,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
해설문
국문
일신재(日新齋)는 월헌 이보림이 김해시 관동동에 지은 주택이다.
이보림은 율곡 이이, 우암 송시열, 간재 전우, 석농 오진영으로 이어지는 영남 기호학파의 후예로서 200여명의 문하생을 배출한 김해의 대표적 유학자이다.
사랑채에‘일신재(日新齋)’현관이 붙어 있는데, 수학을 통해 날마다 새로워지겠다는‘일신우일신(日新又日新)’의 각오를 담고 있다. 안채는 현대 생활의 필요에 따라 부엌 바닥을 높여 싱크대를 설치하고, 배면으로 시멘트 구조물을 달아내는 등 부분적 변형이 있지만, 원형이 크게 훼손되지는 않았다. 안채 옆에 남아있는 장독대와 지붕으로 덮은 우물은 주택의 생활상을 잘 보여준다.
일신재는 전통한옥이 근대가 되면서 어떻게 변해가는지를 잘 보여준다. 일제강점기에 학생들에게 유학을 가르쳤던 이보림을 기리는 김해 관동리 월봉서원과 함께 보존가치가 있는 근대유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