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한글점자 훈맹정음 제작 및 보급 유물

HeritageWiki
Kurt1166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2년 11월 7일 (월) 05:53 판 (영문)

이동: 둘러보기, 검색


한글점자 「훈맹정음」 제작 및 보급 유물
대표명칭 한글점자 「훈맹정음」 제작 및 보급 유물
주소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지정번호 국가등록문화재 제800호
지정일 2020년 12월 4일
분류 등록문화재 / 기타 / 동산
시대 일제강점기
수량/면적 8건 48점
웹사이트 한글점자 「훈맹정음」 제작 및 보급 유물,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훈맹정음(訓盲正音)은 송암 박두성(松庵 朴斗星, 1888~1963)이 1926년에 반포한 6점식 한글점자로, 본 문화재는 일지, 제판기 등 제작 및 보급 유물 총 8건 48점으로 구성되어 있다.

강화군 교동면 출신의 박두성은 1913년 제생원 맹아부*에 부임하면서 시각장애인 교육에 매진하기 시작했다. 우리말로 된 점자가 없음을 안타깝게 여긴 그는 1920년 비밀리에 조선어점자연구위원회를 조직하여 연구를 거듭한 끝에 1926년 11월 4일 한글점자 훈맹정음을 발표했다. 1927년 7월에는 조선맹인사업협회를 조직하여 점자책 제작 및 보급에도 힘썼다.

세종대왕의 훈민정음(訓民正音)처럼 일제강점기 시각장애인을 위해 창안된 한글점자 훈맹정음과 그 제작 및 보급 유물은 당시 사회・문화적 상황을 반영하고 있다는 점에서 역사적 가치가 크다.


  • 제생원 맹아부 : 1913년에 설치된 시각·청각 장애인의 교육을 담당하던 기관

영문

Artifacts Related to Creation and Printing of Korean Braille Alphabet Hunmaengjeongeum

Hunmaengjeongeum is the first-ever 6-dot braille (tactile writing system) for the Korean language created in 1926 by Bak Du-seong (1888-1963, pen name: Songam). These eight artifacts were designated as National Registered Cultural Heritage in 2020 and include a record containing an overview of the writing system's principles and manual, a journal describing its creation process, as well as various objects used for printing books written in Hunmaengjeongeum.

Born* in Ganghwa-gun County, Bak Du-seong worked as an educator and devoted his whole life to educating and improving the livelihood of visually impaired people in Korea. In 1913 soon after Japan’s annexation of Korea, he received a position at the Department of Visually Impaired Children at Jesaengwon School, an institution founded by the Japanese colonial authorities to provide public education to visually impaired and hearing-impaired children(?). The frustrating reality of visually impaired Koreans being taught Japanese braille and not having a proper alternative to read in their mother tongue motivated Bak to secretly assemble the Korean Braille Research Committee in 1920. Following years of research, Hunmaengjeongeum was published on 4 November 1926. ** In July of 1927, he established the Commercial Association of Visually Impaired Koreans to produce and distribute literature printed in this writing system.

The artifacts gathered in this collection hold significant value as they demonstrate important aspects of the social and cultural situation in Korea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 I rearranged the information in this paragraph a little bit. For the added information I referenced this and_this.
    • Maybe somewhere here we could add an explanation of the name and the fact that this braille system is based on hangeul since it is one of the important criteria that differentiates it from other braille alphabets.

This braille was based on the Korean writing system hangeul i.e. Hunminjeongeum (“The Correct Sounds for the Instruction of the People”) which is also reflected in its name Hunmaengjeongeum meaning, “The Correct Sounds for the Instruction of the Blind.”

영문 해설 내용

훈맹정음은 박두성(1888~1963, 호: 송암)이 일제강점기인 1926년에 창안한 최초의 6점식 한글점자이다. 훈맹정음의 원리와 사용법에 대한 기록, 창안 과정을 기록한 일지, 점자책 제작에 사용한 물품 등 총 8종의 유물이 2020년 국가등록문화재로 등록되었다.

강화 출신의 교육자인 박두성은 1913년 시각·청각 장애인의 교육을 담당하던 기관에 부임하였고, 이후 시각장애인 교육에 매진하기 시작하였다. 당시 그는 일본어로 된 점자는 있어도 한국어를 제대로 기록할 수 있는 한글 점자가 없는 것을 안타깝게 생각했다. 박두성은 1920년 비밀리에 조선어점자연구위원회를 조직하여 연구를 거듭하였고, 1926년 11월 4일 한글점자 훈맹정음을 발표했다. 1927년 7월에는 조선맹인사업협회를 조직하여 점자책 제작 및 보급에도 힘썼다.

일제강점기 시각장애인을 위해 창안된 한글점자 훈맹정음과 그 제작 및 보급 유물은 당시 사회・문화적 상황을 반영하고 있다는 점에서 역사적 가치가 크다.

  • 아래 갤러리의 명칭과 설명도 번역 필요

갤러리

사진 명칭 설명
훈맹정음 한글점자.png 한글점자
Eng
훈맹정음 창제원리와 사용법 등을 기록한 책자
Eng
훈맹정음 제판기.png 제판기
Eng
아연판에 점자를 찍어 점자 원판을 제작하는 도구
Eng
훈맹정음 일지.png 일지
Eng
통신교육과 점자책 제작에 관한 것을 기록한 업무일지
Eng
훈맹정음 점자인쇄기.png 점자인쇄기(로울러)
Eng
점자원판 사이에 종이를 넣고 압력을 가해 점자를 찍는 기계
Eng
훈맹정음 맹사일지.png 맹사일지
Eng
조선맹인사업협회를 운영하면서 사용된 구체적인 자료들을 수록한 일지
Eng
훈맹정음 점자타자기.png 점자타자기
Eng
글쇠 6개를 조작하여 원하는 점자를 찍을 수 있는 타자기
Eng
훈맹정음 점자원판.png 점자원판
Eng
이솝우화를 아연판에 점자로 찍은 점자원판
Eng
훈맹정음 촉불.png 촉불(8호)
Eng
신문기사에 대한 논평과 해설을 점자로 찍은 점자 회람지
Eng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