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한글점자 훈맹정음 제작 및 보급 유물

Heritage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2년 11월 2일 (수) 14:24 판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 |사진출처= |대표명칭=한글점자 「훈맹정음」 제작 및 보급 유물 |영문명칭= |한자= |주소=인천광역시 미...)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한글점자 「훈맹정음」 제작 및 보급 유물
대표명칭 한글점자 「훈맹정음」 제작 및 보급 유물
주소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지정번호 국가등록문화재 제800호
지정일 2020년 12월 4일
분류 등록문화재 / 기타 / 동산
시대 일제강점기
수량/면적 8건 48점
웹사이트 한글점자 「훈맹정음」 제작 및 보급 유물,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훈맹정음(訓盲正音)은 송암 박두성(松庵 朴斗星, 1888~1963)이 1926년에 반포한 6점식 한글점자로, 본 문화재는 일지, 제판기 등 제작 및 보급 유물 총 8건 48점으로 구성되어 있다.

강화군 교동면 출신의 박두성은 1913년 제생원 맹아부*에 부임하면서 시각장애인 교육에 매진하기 시작했다. 우리말로 된 점자가 없음을 안타깝게 여긴 그는 1920년 비밀리에 조선어점자연구위원회를 조직하여 연구를 거듭한 끝에 1926년 11월 4일 한글점자 훈맹정음을 발표했다. 1927년 7월에는 조선맹인사업협회를 조직하여 점자책 제작 및 보급에도 힘썼다.

세종대왕의 훈민정음(訓民正音)처럼 일제강점기 시각장애인을 위해 창안된 한글점자 훈맹정음과 그 제작 및 보급 유물은 당시 사회・문화적 상황을 반영하고 있다는 점에서 역사적 가치가 크다.


  • 제생원 맹아부 : 1913년에 설치된 시각·청각 장애인의 교육을 담당하던 기관

영문

영문 해설 내용

갤러리

사진 명칭 설명
훈맹정음 한글점자.png 한글점자 훈맹정음 창제원리와 사용법 등을 기록한 책자
훈맹정음 제판기.png 제판기 아연판에 점자를 찍어 점자 원판을 제작하는 도구
훈맹정음 일지.png 일지 통신교육과 점자책 제작에 관한 것을 기록한 업무일지
훈맹정음 점자인쇄기.png 점자인쇄기(로울러) 점자원판 사이에 종이를 넣고 압력을 가해 점자를 찍는 기계
훈맹정음 맹사일지.png 맹사일지 조선맹인사업협회를 운영하면서 사용된 구체적인 자료들을 수록한 일지
훈맹정음 점자타자기.png 점자타자기 글쇠 6개를 조작하여 원하는 점자를 찍을 수 있는 타자기
훈맹정음 점자원판.png 점자원판 이솝우화를 아연판에 점자로 찍은 점자원판
훈맹정음 촉불.png 촉불(8호) 신문기사에 대한 논평과 해설을 점자로 찍은 점자 회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