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수표교

Heritage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2년 10월 28일 (금) 14:22 판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수표교.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111100180000 수표교], 국가문화유산포...)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수표교
수표교,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수표교
한자 水標橋
주소 서울특별시 중구 장충동2가 197-1, 산4-50, 산6-5
지정번호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8호
지정일 1973년 6월 18일
분류 유적건조물/교통통신/교통/교량
시대 조선시대
수량/면적 다리 1基, 토지 210.3㎡
웹사이트 수표교,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이 다리는 청계천을 가로질러 쌓은 돌다리로, 다리 옆에 물의 높이를 측량하던 기구인 수표를 세우면서 수표교라 불렸다. 한양 도심을 흐르는 개천(開川, 지금의 청계천)의 다리는 조선 초에 흙다리나 나무다리였다. 이후 태종 연간부터 돌다리로 지었는데, 수표교도 태종~세종 재위 기간에 돌로 다시 지었다. 1958년 청계천 복개공사를 시작하면서 해체하여 1959년에 이곳으로 옮겨 세웠다. 다리 길이는 27.5m에 폭 7.5m, 높이 4m이며, 재료는 모두 화강석이다. 다릿기둥 아랫부분은 물의 저항을 줄이기 위해 마름모꼴로 만들었다. 1441년(세종 23)에 다리 서쪽에 나무로 만든 측우기를 설치하였다가 성종 때 돌로 바꾸었다. 1760년 (영조 36)에는 다릿기둥에 경진지평(庚辰地坪)이란 글자를 새겨 네 단계로 물 높이를 측정함으로써, 다리 자체가 물의 높이를 측정하는 기구 역할도 하게 되었다. 수표교와 함께 있던 수표(보물 제838호)는 다리를 옮길 때 함께 옮겨 왔다가 1973년에 세종대왕기념관으로 옮겨졌다.

영문

영문 해설 내용

이 다리는 청계천을 가로질러 쌓은 돌다리로, 다리 옆에 물의 높이를 측량하던 기구인 수표를 세우면서 수표교라 불렸다.

한양 도심을 흐르는 청계천의 다리는 조선 초기까지만 해도 흙다리나 나무다리였고, 태종(재위 1400-1418) 때부터 돌다리로 짓기 시작하였다. 수표교는 15세기 전반기에 화강암으로 지었고, 원래 지금의 청계천 인근에 있었으나, 1958년 청계천 복개공사를 시작하면서 해체하여 이듬해 지금의 자리로 옮겨 세웠다. 다리 길이는 27.5m에 폭 7.5m, 높이 4m이다.

수표교 다리 기둥의 아랫부분은 물의 저항을 줄이기 위해 마름모꼴로 만들었다. 1441년에는 청계천의 수위를 재기 위해 다리 서쪽에 나무로 만든 수표를 설치하였다. 그러나 나무는 물에 오래 잠기면 쉽게 썩기 때문에 성종(재위 1469-1494) 때 돌기둥 형태의 수표로 바꾸었다. 1760년에는 다리 기둥에 세로로 네 글자를 새겼다. 이 글자를 기준으로 물이 어느 글자까지 차올랐는지를 확인하여 물의 높이를 측정할 수 있었다. 수표교와 함께 있던 수표(보물)는 현재 세종대왕기념관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