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청량당(남한산성)

Heritage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2년 9월 27일 (화) 15:57 판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남한산성청량당.jpg |사진출처=[https://ggc.ggcf.kr/p/5b87e27e9f52984232e436c7 청량당], 경기도문화재 : 육구삼+ Series,...)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청량당
청량당, 경기도문화재 : 육구삼+ Series, 경기문화재단.
대표명칭 청량당
한자 淸凉堂
주소 경기도 광주시 남한산성면 산성리 815-2
지정번호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3호
지정일 1972년 5월 4일
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제사유적 / 제사터
수량/면적 1동
웹사이트 청량당,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청량당은 남한산성의 축성과 관련한 민간 신앙처로서 마을의 신을 모시는 신당의 성격을 갖고 있다.

10명의 무속 신 가운데 이회 장군도 있는데, 이회는 조선 인조 2년 남한산성을 축성할 때 동남쪽 부분을 담당하였다. 그런데 이회는 경비를 탕진하고 공사에 힘쓰지 않아 날짜 내에 공사를 마치지 못했다는 억울한 모함을 받아 처형당한다. 그의 처첩도 삼남(경상, 전라, 충청) 지방에서 축성자금을 모아 돌아오는 길에 남편의 소식을 듣고 강물에 투신하였다. 그 후 이회의 무고함이 밝혀져 사당을 짓고 넋을 달래게 하였는데, 이회를 도당신으로 모시게 된 것이 도당굿의 기원이다. 도당굿의 핵심 절차는 산성을 한 바퀴 도는 산성 돌기였다. 이는 축성의 의미를 되새기고, 조상들의 고역과 죽음 등 조상들의 삶과 우리 역사를 돌아보는 기회를 제공한다.

청량당은 세계문화유산 남한산성의 탁월한 보편적 가치 중 하나인 민속경관(민간신앙)에 해당한다.

영문

영문 해설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