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의성 대곡사 범종루

Heritage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2년 9월 2일 (금) 09:34 판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의성대곡사범종루.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123721210000 의성 대곡사...)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의성 대곡사 범종루
의성 대곡사 범종루,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의성 대곡사 범종루
한자 義城 大谷寺 梵鐘樓
주소 경상북도 의성군 대곡사길 80 (다인면)
지정번호 보물 제212호
지정일 2021년 3월 25일
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불전
소유자 대한불교조계종 대곡사
관리자 대한불교조계종 대곡사
시대 조선시대
수량/면적 1동
웹사이트 의성 대곡사 범종루,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의성 대곡사 범종루(義城 大谷寺 梵鐘樓)는 대웅전(大雄殿) 앞에 세워진 2층 누각(樓閣)* 건물이다. 범종(梵鐘)은 사찰에서 시간을 알리거나 사람을 모을 때, 또는 의식을 행하고자 할 때 쓰이는 종이다. 불교에서 범종 소리는 지옥에 떨어진 중생을 구제한다는 상징적인 의미가 있다.

의성 대곡사 범종루는 앞면 3칸, 옆면 3칸 규모이고 지붕의 형태는 옆에서 볼 때 여덟 팔(八)모양을 한 팔작지붕이다. 범종루는 지붕처마를 받치면서 장식을 겸하는 공포(栱包)구조가 기둥 위뿐 만아니라 기둥 사이에도 있고 네 면의 가운데 칸에는 기둥과 기둥사이에 놓인 공포를 생략하고 화반을 사용한 점은 다포(多包), 주심포(柱心包), 익공(翼工)의 공포양식이 모두 나타나는 절충양식의 건물이라고 할 수 있다.

조선 중ㆍ후기의 나무 다듬는 방법과 건물을 이루는 각 부분에서 장식적인 방법 등에서 조선 중후기의 건축적 특징이 잘 남아있다. 특히 의성지역의 불교사찰이 부흥하기 시작한 17세기의 변화를 잘 간직하고 있다. 현재 범종루에 있던 범종은 용문사에서 보관 중이다.

영문

영문 해설 내용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