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적사 석가여래삼존상
은적사 석가여래삼존상 |
|
대표명칭 | 은적사 석가여래삼존상 |
---|---|
한자 | 隱寂寺 釋迦如來三尊像 |
주소 | 전라북도 군산시 설림3길 49 (소룡동) |
지정(등록) 종목 |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84호 |
지정(등록)일 | 2000년 11월 17일 |
분류 | 유물/불교조각/목조/불상 |
시대 | 조선시대 |
수량/면적 | 3구 |
웹사이트 | 은적사 석가여래삼존상,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
해설문
국문
은적사 석가여래삼존상은 석가여래불을 중심으로 문수보살과 협시보살이 양쪽에 위치해 있다.
1629년(인조7년) 수종(守宗) 화상이 제작한 석가여래삼존상은 당당한 어깨, 균형있는 동체, 안정감있는 무릎자세 등 불신의 비례가 적절하며 법의와 천의의 옷주름 표현이 뛰어나다.
본존인 석가여래불은 간소한 나무 대좌에 결가부좌한 채 항마촉지인을 맺고 있으며 나발(螺髮)의 머리에 육계가 낮게 표현되어 있다.
문수보살은 머리에 위쪽으로 벌어진 중국식 보관을 쓰고 팔에 꽃무늬 팔찌가 있다. 보관의 윗부분은 붉은색, 아랫부분은 금색이다.
보현보살은 왼쪽 팔이 노출되어 있으며 배 부근의 옷자락 밑으로 장식적인 꽃무늬 조각이 새겨져 있다.
은적사 석가여래삼존상은 전형적인 석가 삼존불의 형식을 따른 목제 대형 불상으로 확실한 조성시기를 알 수 있어 조선후기의 불상양식을 볼 수 있는 중요한 문화자산이다.
영문
영문 해설 내용
1629년 승려 수종이 제작한 이 삼존상은 석가여래를 중심으로 양옆에 문수보살과 협시보살이 있다. 전형적인 석가여래 삼존불의 형식을 따른 대형 목제 불상으로 확실한 조성시기를 알 수 있어 조선 후기의 불상양식을 볼 수 있는 중요한 문화자산이다.
세 불상 모두 당당한 어깨, 균형있는 몸, 안정감 있는 무릎자세 등 불신의 비례가 적절하며 옷의 주름 표현이 뛰어나다.
본존인 석가여래는 간소한 나무 대좌에 결가부좌한 채 앉아 있다. 부처의 오른손은 땅을 향하고 있고 왼손은 무릎 위에 있는데, 이는 부처가 모든 악마를 항복시키고 깨달음을 얻은 순간을 상징한다. 머리에는 부처의 지혜를 상징하는 육계가 있다.
두 보살은 윗부분은 붉은색, 아랫부분은 금색인 중국식 보관을 쓰고 있고, 연꽃 봉오리를 들고 있는 손의 위치가 서로 대칭을 이룬다. 오른쪽의 문수보살은 옷이 양어깨를 덮고 있는 반면, 왼쪽의 보현보살은 왼쪽 팔이 노출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