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 이로당
안동 이로당 |
|
대표명칭 | 안동 이로당 |
---|---|
한자 | 安東 怡老堂 |
주소 | 경상북도 안동시 마애길 85-13 (풍산읍, 이로당) |
지정(등록) 종목 |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512호 |
지정(등록)일 | 2006년 9월 14일 |
분류 | 유적건조물/주거생활/주거건축/가옥 |
수량/면적 | 일원 |
웹사이트 | 안동 이로당,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
|
해설문
국문
이로당은 조선 시대의 학자 이돈(李燉)이 가문의 후손들과 지역의 자제들을 가르치기 위해 광해군 4년(1612)에 지은 건물이다. ‘이로’는 ‘벼슬에서 물러나 인생의 늘그막을 즐긴다’라는 뜻이다. 이로당이 있는 마애리는 고려 말의 문신인 이자수가 정착한 뒤 진성 이씨 후손들이 대대로 모여 살고 있는 집성촌이다.
이돈은 마애리 출신으로 선조 34년(1601) 과거에 합격한 뒤 여러 관직을 지냈다. 광해군 2년(1611) 경상도 영해부사로 좌천되자 벼슬에서 물러나 고향으로 돌아왔으며, 이로당과 산수정(경상북도 민속문화재)을 짓고 제자들을 가르쳤다.
이로당에는 대청을 중심으로 양옆에 온돌방이 있고, 왼쪽 온돌방을 제외한 나머지 앞면에는 툇마루가 있다. 대청 뒷면에 널문을 달았는데, 널문의 위쪽 틀에는 문짝이 안쪽으로 열리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해 철로 만든 원산*을 박았다. 창호의 부속 재료를 철로 만드는 것은 오래된 건물에서만 볼 수 있는 양식으로 이로당의 오랜 역사를 보여 준다.
- 원산(遠山): 문짝이 더 들어가지 아니하도록 문지방 가운데에 박는 쇠
영문
영문 해설 내용
이로당은 조선시대의 학자 이돈(1568-1624)이 가문의 후손들과 지역의 자제들을 가르치기 위해 1612년에 지었다. ‘이로’는 ‘벼슬에서 물러나 인생의 늘그막을 즐긴다’는 뜻이다. 이로당이 있는 마애리는 고려 말의 문신인 이자수가 정착한 뒤 진성이씨 후손들이 대대로 모여 살고 있는 집성촌이다.
이돈은 마애리 출신으로 1601년 과거에 합격한 뒤 여러 관직을 지냈다. 1611년 벼슬에서 물러난 뒤 고향으로 돌아왔으며, 이로당과 산수정(경상북도 민속문화재)을 짓고 제자들을 가르쳤다.
이로당에는 대청을 중심으로 양옆에 온돌방이 있고, 왼쪽 온돌방을 제외한 나머지 앞면에는 툇마루가 있다. 대청 뒷면에 널문을 달았는데, 널문의 위쪽 틀에는 문짝이 안쪽으로 열리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해 문지방에 철 막대기를 박았다. 창호의 부속 재료를 철로 만드는 것은 오래된 건물에서만 볼 수 있는 양식으로 이로당의 오랜 역사를 보여 준다.
참고자료
- 안동 이로당, 디지털안동문화대전,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andong.grandculture.net/andong/toc/GC02400842 -> 안동 이로당(安東 怡老堂)은 호봉(壺峰) 이돈(李燉, 1568~1624)이 학문과 마을 자제들의 교육을 위해 건립한 정사이다. 이돈은 자는 광중(光仲)이고, 호는 호봉이며, 한강(寒岡) 정구(鄭逑)의 문하에서 공부했다. 1601년(선조 34) 명경과에 급제하여 성균관전적, 사헌부지평, 예조정랑 등을 거쳤다. 1612년(광해군 4) 영해부사를 그만두고 돌아와 산수정(山水亭)과 이로당을 짓고 학문과 교육에 힘썼다. 1623년 인조반정 후 성균관직강이 되었다가, 1624년 영천군수로 재임하다 병으로 세상을 떠났다. / 정면 4칸, 측면 1칸 반 규모의 일자형 집이다. 가운데에 1칸 대청을 놓고 그 좌우에 각 1칸씩의 온돌방을 두었으며, 좌측 온돌방 뒷벽에는 벽장을 설치했다. 좌측 온돌방을 제외한 나머지 정면 3칸 전면에는 툇마루가 있다. 대청의 앞쪽은 트여 있고, 뒤쪽은 판 머름 위에 두 짝 울거미 널문을 달았다. 널문의 위틀에는 철원산이 박혀 있는데, 이 창호 건물은 비교적 오래된 건물에서 주로 볼 수 있다. 건물 구조 양식은 자연석 바른 층 쌓기 한 기단 위에 화강암과 막돌을 혼용하여 놓고 가운데 기둥 하나만 원주를 세우고 나머지는 네모기둥을 세운 홑처마 팔작지붕 집이다.
- 마애촌 이야기, 진성이씨 대종회 – 사진자료실 http://www.jinseong.org/ -> 이 정자는 진성이씨 마애파 소유의 정자이다. 풍산읍의 동남쪽에 있는 마애의 동북쪽 언덕 위에 낙동강을 바라보며 남향으로 자리잡고 있다. / 마애는 진성이씨가 진보에서 안동에 터를 잡을 때 입향조인 이자수(李子脩)가 맨 처음 정착했던 곳으로 나중에 두루로 옮겨 갔다가 증손인 흥양(興陽)이 다시 돌아온 이래 약 500여 년을 세거해 오고 있는 곳이다. 흥양의 6대손인 돈(燉)과 그의 아들 회보(回寶)대에 연이어 문과급제를 하였으며 진사 14인을 배출하는 등 집성촌으로 문한을 이어온 곳이다. 현판은 해서체로 이강호(李康鎬)가 썼다. 노인의 마음을 기쁘게 해 드린다는 의미로 경로의 뜻이 담겨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