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전주향교 대성전

Heritage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2년 6월 15일 (수) 15:46 판 (참고자료)

이동: 둘러보기, 검색


전주향교대성전
0
전주향교 대성전,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전주향교대성전
영문명칭 0
한자 全州鄕校大成殿
주소 0
지정번호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7호
지정일 1971년 12월 2일
분류 유적건조물/교육문화/교육기관/향교
수량/면적 1동
웹사이트 전주향교 대성전,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대성전은 공자를 비롯하여 성현들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는 곳이다.

전주향교 대성전은 선조 36년(1603)에 현재의 자리로 향교를 이전하면서 새로 지었고, 대한제국 융희 원년(1907)에 고쳐 지었다. 1987년에는 대성전과 동무·서무를 해체, 복원하였다.

전주향교 대성전에는 전면 중앙에 공자의 영정과 위패를 봉안하였고, 그 앞으로 동편에 안자·자사, 서편에 증자·맹자를 배향하였다. 공자 위패의 양옆 동·서벽으로는 설총과 최치원을 비롯한 18인의 우리나라 성현을 모셨다. 대성전의 앞뜰 양쪽의 동무와 서무에는 공문(孔門) 10철과 송조 6현, 중국의 7현을 나누어 모셨다.

대성전은 앞면 3칸 옆면 3칸 규모의 맞배지붕** 건물이다. 이중기단***으로 그 전면에 넓은 월대****를 설치하여 격식을 높이고 의례를 행할 때 편의를 도모하였다.

매년 봄·가을에 공자를 비롯한 성인과 선현들에게 제사드리는 석전대제(釋奠大祭)를 지낸다.


  • 위패(位牌): 죽은 사람의 이름을 적은 나무패
  • 맞배지붕: 건물의 모서리에 추녀가 없이 용마루까지 측면 벽이 삼각형으로 된 지붕
  • 기단(基壇): 건축물의 터를 반듯하게 다듬은 다음에 터보다 한 층 높게 쌓은 단
  • 월대(月臺): 궁궐의 정전과 같은 중요한 건물 앞에 설치하는 넓은 기단 형식의 대

영문

영문 해설 내용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