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문산 마애여래좌상
Heritage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2년 5월 16일 (월) 12:30 판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보문산마애여래좌상.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112500190000 보문산 마애...)
보문산 마애여래좌상 |
|
![]() 보문산 마애여래좌상,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
|
대표명칭 | 보문산 마애여래좌상 |
---|---|
한자 | 寶文山 磨崖如來坐像 |
주소 | 대전광역시 중구 석교동 산17-1번지 |
지정(등록) 종목 | 대전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9호 |
지정(등록)일 | 1990년 5월 28일 |
분류 | 유물/불교조각/석조/불상 |
시대 | 고려시대 |
수량/면적 | 1구 |
웹사이트 | 보문산 마애여래좌상,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
해설문
국문
보문산 마애여래좌상은 대전광역시 중구 석교동 복전암(福田庵) 인근에 있는 3.2m 높이의 불상이다. 이 불상은 높이 6m, 폭 6m 정도의 절벽에 돋을새김으로 새겨져 있다.
불상의 모습은 유난히 긴 귀와 날카롭게 치켜뜬 눈, 두터운 입술의 강인한 얼굴에 비하여 옷자락은 부드럽게 새겼는데, 안쪽의 옷 위로 겹쳐진 겉옷이 양어깨를 감싸고 있다. 또한 불상은 머리 부분을 깊게 조각하고 아래로 내려오면서 얕게 새겼는데, 이는 마애불 조각에서 일반적으로 보이는 기법이다.
옛날 마애불 아래에 신묘암이라는 절이 있었다고 한다. 그런데 어느 해인가 위에서 큰 바위가 굴러떨어져 절이 부서지자 풍수지리에 밝은 학조 스님이 현재 복전암터에 암자를 짓고 이 부처님을 모셨다고 한다.
보문산 마애여래좌상은 조각 기법, 광배와 옷의 주름에서 보이는 간략하면서도 단순화된 조형 감각, 토속적인 얼굴 표현 등을 볼 때 고려 후기 작품으로 추정된다. 이 불상은 대전의 유일한 마애불이란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