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고성 소산정사

Heritage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9년 7월 3일 (수) 03:13 판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고성소산정사.jpg |사진출처="[http://www.kculture.or.kr/oldHome/view/menu/426?type=1&kmCode=kmgs0011&thisPage=1&recordCnt=10&search...)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소산정사
"소산정사", 한국전통옛집, 『전통문화포털』, 한국문화정보원.
대표명칭 소산정사
한자 疏山精舍
주소 경상남도 고성군 대가면 송계리 806
지정(등록) 종목 문화재자료 제293호
지정(등록)일 2001년 2월 22일
분류 유적건조물/주거생활/주거건축/가옥
시대 0
수량/면적 4동
웹사이트 "고성 소산정사",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고성 소산정사는 집안의 글방으로 사용하던 서재 건물이다. 정사의 이름은 주변에 있는 소흘산의 이름을 따서 지은 것이다. 1890년에 처음 세웠으며 1915년에 크게 고쳐 지은 후 여러 차례 수리를 하였다.

이 정사는 함안 이씨 문중의 소호공(小湖公), 군수군(郡守君)이 세웠다. 소호공은 관직에 나가지 않고 유학을 공부하였으며, 아들인 군수군은 목민관(牧民官)을 지낸 후 고향으로 내려와 후학을 양성하였다.

시루봉의 남쪽 비탈면 끝자락에 남서쪽을 향하여 자리 잡고 있다. 대문을 들어서면 맞은편에 소산정사가 있으며, 정자인 한루정과 창고, 부속 기와집이 각각 1채씩 있다. 한루정과 같은 규모의 호은정이라는 정자가 있었는데 1999년에 소실되었다.

정면 5칸, 측면 2칸의 규모이며 중앙의 마루 2칸을 중심으로 하여 왼쪽에 온돌방 2칸, 오른쪽에 온돌방 1칸으로 구성되어 있다. 모든 온돌방에는 방을 중심으로 앞뒤에 툇마루가 설치되어 있어 툇마루가 발달한 겹집구조라고 할 수 있다. 지붕은 네모꼴의 처마에 세모꼴의 지붕을 올린 팔작지붕의 형식으로 되어 있다.

처마 끝의 하중을 받치기 위해 처마와 기둥 사이에 짜 맞추어 댄 나무인 공포는 새 날개 모양의 부재를 끼운 익공 형식으로 되어 있다. 기둥과 기둥 위에 건너 얹어 서까래를 놓도록 하는 나무인 도리는 5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도리의 받침 역할을 하는 장여와 기둥들을 연결하는 창방 사이에는 화반 2개가 놓여 있다.

한루정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규모이다. 마루 1칸, 툇마루가 딸린 온돌방 2칸으로 구성되어 있다. 장여 등의 밑에 받치는 됫박 모양의 네모진 나무인 소로를 받쳐서 장식한 소로수장 형식으로 되어 있으며, 도리는 3개로 구성되어 있다.

대문채는 5칸 규모이며, 가마를 타고 출입할 수 있도록 좌우 행랑보다 지붕을 높게 설치한 솟을대문 형식으로 되어 있다.


  • 목민관(牧民官): 백성을 다스려 기르는 벼슬아치라는 뜻으로, 고을의 원(員)이나 수령 등의 외직 문관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 화반(花盤): 공포대의 주간(柱間) 구성에 있어서 위아래에 위치한 도리 방향의 긴 부재 사이를 받쳐주기 위해 사용하는 부재를 말한다.

영문

영문 해설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