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고방사 목조아미타삼존불상

HeritageWiki
이슬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2년 3월 22일 (화) 15:21 판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고방사목조아미타삼존불상.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3413704670000 고방...)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고방사 목조아미타삼존불상
고방사 목조아미타삼존불상,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고방사 목조아미타삼존불상
한자 古方寺 木造阿彌陀三尊佛像
주소 경상북도 김천시 농소면 봉곡리 485
지정(등록) 종목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467호
지정(등록)일 2004년 10월 14일
분류 유물/불교조각/목조/불상
시대 조선시대
수량/면적 3구
웹사이트 고방사 목조아미타삼존불상,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기존 국문

기존 문안 없음.

수정 국문

초고

고방사의 중심전각인 보광명전(寶光明殿)에 모셔져 있는 이 삼존불상은 조선 현종 11년(1670)에 제작되었으며, 나무를 조각해 형태를 만들고 그 위에 금칠을 했다. 중앙의 아미타불을 중심으로 왼쪽에는 자비를 상징하는 관세음보살이, 오른쪽에는 지혜를 상징하는 대세지보살을 모셨다. 나무를 조각해 형태를 만들고 그 위에 금칠을 했다.

주존불인 아미타불은 극락정토의 부처로, 아미타불의 공덕을 기리고 그의 이름을 염(念)하는 모든 중생들은 극락세계에 왕생할 수 있다고 여겨진다. 엄지와 중지를 맞댄 두 손은 무릎 위에 있으며, 오른손은 손바닥이 정면을 향하고, 왼손은 손바닥이 하늘을 향하도록 했다.

좌우를 협시하는 두 보살상은 모두 보관을 썼으며, 여러 갈래의 검은 머리카락이 어깨 위에 닿아 있다. 둘 다 한 손은 무릎에 올리고 다른 한 손은 엄지와 중지를 맞댄 채 어깨 높이까지 올린 손 모양을 하고 있는데, 방향은 서로 대칭을 이루고 있다. 관세음보살의 오른손에는 작은 정병(淨甁)이, 대세지보살의 왼손에는 경전(經傳)으로 추정되는 직사각형 물건이 놓여있는 것이 주목된다.

세 불상 모두 보존 상태가 양호하고, 17세기 조선에서 유행한 목조아미타삼존불상의 전형적인 양식을 반영하고 있어 당시의 불교 조각사 연구에 매우 중요한 자료로 평가되고 있다.

불상 뒤에는 아미타불이 설법하는 모습을 묘사한 불화(김천 고방사 아미타여래설법도, 보물 제1854호)가 걸려있다.


1차 수정

참고자료

  • 지자체 제공 자료 → 삼존불상(三尊佛像)은 현재 법당인 보광명전(寶光明殿)에 아미타불좌상을 본존으로 하고 그 좌우에 관세음보살상과 대세지보살상이 나란히 모셔져 있다. 주존(主尊)인 아미타불좌상은 협시보살상보다 10cm정도 크고 전체적으로 당당하다. 이 불상의 좌대에 묵서된 명문에 1670년에 조성되었다는 기록이 있으며 17세기에 유행한 목조아미타삼존불상의 전형적인 양식을 반영하고 있다. 이 삼존불상은 상주 북장사 목조아미타삼존불상(1676년)과 예천 용문사 목조아미타삼존불상(1684년, 보물 989호)과 더불어 17세기 후반 불교 조각사 연구에 매우 중요한 자료로 평가되고 있다.
  • 고방사 목조아미타삼존불상,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pageNo=1_1_1_1&ccbaCpno=3413704670000 → 三尊佛像은 현재 法堂인 寶光明殿에는 아미타불좌상을 본존으로 하고 그 좌우에 관세음보살상과 대세제보살상이 사각형의 수미단 위에 나란히 모셔져 있다. 主尊인 아미타불좌상은 협시보살상보다 10cm 정도 더 크고 전체적으로 당당하다. 肉髻가 들어나지 않는 머리에는 원통형의 오똑한 정상계주와반달형의 중앙계주를 표현하였으며, 둥글면서도 약간 길쭉한 얼굴에는 반쯤 뜬 눈, 오똑한 코, 선명한 인중과 작은 입 등 엄정하고 원만한 상호를 하고 있다. 목에는 삼도가 뚜렷하고 어깨가 넓고 허리가 길며, 앉은 자세를 앞으로 넉넉히 내었고 무릎너비가 어깨너비보다 넓어 안정된 신체비례를 하고 있다. 가슴과 배를 비롯한 다른 신체부위가 굴곡이 적어 다소 경직된 느낌이 든다. 法衣는 上衣의 앞을 U자형으로 깊고 넓게 트고 그 안에 수평으로 가로지르는 內衣가 있으며, 양쪽 어깨를 덮은 通肩이다. 手印은 일반적으로 가슴부근까지 올려졌던 오른손이 무릎에 내려진 형식을 하고 있는 阿彌陀下品中生印을 결하고 있는데, 이는 1630년대 이후부터 나타나는 수인형식을 따르고 있다. 관세음보살상과 대세지보살상은 머리에 金銅寶冠을 쓰고 寶髮을 어깨위로 느려뜨렸으며, 상호는 아미타불처럼 경직되기는 하였으나 온화한 편에 속한다. 두 보살상에서 가장 주목되는 점은 손모양인데, 한 손은 무릎위에 올려놓고 다른 손은 팔꿈치를 굽혀 어깨높이로 들어 올린 일반적인 모습이지만 관세음보살상의 오른손에는 작은 淨甁이, 대세지보살상의 왼손에는 經冊으로 추정되는 직사각형의 상자가 올려진 점이다.
  • 고방사 목조아미타삼존불상, 디지털김천문화대전 http://gimcheon.grandculture.net/gimcheon/toc/GC03200570 → . 고방사 목조아미타삼존불상은 복장다라니[조선 후기, 종이, 46×55.6㎝ 2매, 직지성보박물관 소장]에 의하면 1670년에 봉안되었다. 좌우 협시로는 중생을 극락으로 인도하는 관세음보살과 대세지보살을 두었다. 본존인 아미타불좌상은 협시보살보다 10㎝ 정도 크고 전체적으로 당당한 모습이다. 삼존불상은 모두 나무로 만들어졌다. / 목조라는 재료의 한계성에도 불구하고 보존 상태가 우수하며 완형이다. 불상의 좌대에 묵서된 명문에 의하여 1670년에 조성되었다는 절대 연대를 알 수 있으며 17세기에 유행한 목조아미타삼존불상의 전형적인 양식을 반영하고 있다.
  • <참고>김천 고방사 아미타여래설법도,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123718540000&pageNo=1_1_2_0 -> 1688년에 조성된 이 그림은 17세기에 활동한 수화승 민원(敏圓)과 보조화승 각림 등 4명의 화승이 그린 것으로, 본존의 키형 광배와 높은 육계의 표현, 천공(天空) 바탕에 표현된 화문(花紋, 꽃무늬) 등 세부표현과 기법에서 17세기 후반 불화의 특징을 잘 간직하고 있다. 이 불화는 수화승 민원의 유일한 작품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