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장향교 명륜당 및 동재, 서재

Heritage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1년 12월 7일 (화) 08:58 판 (새 문서: {{개별안내판 |사진= |사진출처= |대표명칭=기장향교 명륜당 및 동재, 서재 |한자= |영문명칭=Myeongnyundang Lecture Hall and Dormitories of Gijanghyanggyo...)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기장향교 명륜당 및 동재, 서재
Myeongnyundang Lecture Hall and Dormitories of Gijanghyanggyo Local Confucian School
Goto.png 종합안내판: [[]]



해설문

국문

명륜당

명륜당은 나라에서 세운 관학 교육 기관으로 고려 시대 말부터 조선 시대까지 유생들에게 유학을 가르치던 강학당이었다.

‘명륜(明倫)’이란 인간 사회의 윤리를 밝힌다는 뜻으로 『맹자』 등문공 편에 “학교를 세워 교육을 행하는 것은 모든 인륜을 밝히는 것이다.”라고 한 말에서 유래하였다.

동재와 서재

동재와 서재는 조선 시대 전통적인 교육 기관인 향교에 딸린 건물로, 각각 학생들의 숙소와 학습 장소로 사용되었다. 동재와 서재는 명륜당 강학 마당 좌우로 대칭을 이루고 있으며, 모두 정면 3칸, 측면 2칸으로 공포*가 없는 민도리 형식의 건물이다.


  • 공포: 처마 끝의 무게를 받치기 위하여 기둥머리에 짜 맞추어 댄 나무쪽

영문

Myeongnyundang Lecture Hall and Dormitories

Myeongnyundang Lecture Hall

Myeongnyundang is the name of a lecture hall located within a local Confucian school. It means “Hall of Illuminated Human Relations” and is derived from a passage in Mencius, which states that “the object of all educational institutions is to illuminate human relations.”

East and West Dormitories

East and West Dormitories were used by students of a local Confucian school as a study and residence. These two buildings stand symmetrically from side to side in the front yard of Myeongnyundang Lecture Hall. The West Dormitory has a hip-and-gable roof, while the East Dormitory’s roof has an unusual form combining of a hip-and-gable roof in the south and a gable roof in the north.

영문 해설 내용

명륜당

명륜당은 향교에서 강의가 이루어지던 곳이다. “명륜”이라는 이름은 “교육이란 모두 인간사회의 윤리를 밝히기 위한 것”이라는 『맹자(孟子)』의 한 구절에서 비롯되었다.

동재와 서재

동재와 서재는 향교에서 학생들의 숙소와 학습 장소로 사용되던 곳이다. 명륜당 앞마당에 좌우로 대칭을 이루고 서 있다. 서재는 팔작지붕을 얹었고, 동재는 남쪽의 팔작지붕과 북쪽의 맞배지붕이 혼합된 독특한 형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