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안향교
예안향교 |
|
대표명칭 | 예안향교 |
---|---|
한자 | 禮安鄕校 |
주소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204-1 |
지정(등록) 종목 |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28호 |
지정(등록)일 | 1973년 8월 31일 |
분류 | 유적건조물/교육문화/교육기관/향교 |
수량/면적 | 6동 |
웹사이트 | 예안향교,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
|
해설문
국문
향교는 고려시대와 조선시대 지방에서 유학을 교육하기 위하여 설립한 국립교육기관이다. 덕행과 학문의 모범을 보인 성현에게 제사를 올리며, 유교의 경전과 역사, 시나 문장을 짓는 법을 가르쳤다.
예안향교는 태종 11년(1411)에 창건된 것으로 전한다. 이후 여러 차례 중수되어 현재까지 원형을 유지하고 있다.
일반적인 향교 건축에서는 주요 건물들이 앞뒤로 일직선을 이루도록 배치되지만, 예안향교는 왼쪽에 강학공간이 있고 오른쪽에 제향공간이 배치된 형태이다. 강학공간에는 앞쪽에서부터 정문인 양호루, 기숙사인 동재(거인재)·서재(유의재), 강당인 명륜당이 있고, 명륜당 뒤에는 고직사와 전사청이 자리하고 있다. 제향공간은 담장을 두르고 별도의 공간을 이루고 있으며, 내삼문과 사당인 대성전으로 이루어져 있다. 대성전에는 중국과 우리나라의 유교 성현 27인의 위패가 모셔져 있고, 지금도 매년 음력 2월과 8월에 제례를 거행한다.
영문
Yeanhyanggyo Local Confucian School
A local Confucian school, called hyanggyo in Korean, is a public education institution of the Goryeo (918-1392) and Joseon (1392-1910) periods. They were established nationwide to function as local shrines for Confucius and other sages and to promote Confucian education and nurture elites in local districts. Students learned about literature including poetry composition, Confucian Classics, and history.
Yeanhyanggyo Local Confucian School is said to have been established in 1411. It has since undergone several renovations.
Generally, the main buildings of a local Confucian school are situated one in front of the other, but in this local Confucian school, the lecture area and the ritual area are located next to each other. The lecture area consists of a gate pavilion named Yanghoru, two dormitory buildings, and a lecture hall named Myeongnyundang. Behind the lecture hall is a custodians' residence and a ritual preparation hall. The ritual area is surrounded by an enclosure wall and consists of an inner gate and a main shrine named Daeseongjeon.
The shrine holds the spirit tablets of 27 Chinese and Korean Confucian sages. A veneration ritual honoring these sages is held twice a year in the 2nd and 8th lunar months.
영문 해설 내용
향교는 고려시대와 조선시대 지방에서 유학을 교육하기 위하여 설립한 국립교육기관이다. 덕행과 학문의 모범을 보인 성현에게 제사를 올리며, 유교의 경전과 역사, 시나 문장을 짓는 법을 가르쳤다.
예안향교는 1411년에 창건된 것으로 전하며, 이후 여러 차례 중수되었다.
일반적인 향교 건축에서는 주요 건물들이 앞뒤로 일직선을 이루도록 배치되지만, 예안향교는 왼쪽에 강학공간이 있고 오른쪽에 제향공간이 배치된 형태이다. 강학공간에는 앞쪽에서부터 정문인 양호루, 기숙사인 동·서재, 강당인 명륜당이 있고, 명륜당 뒤에는 고직사와 전사청이 있다. 제향공간은 담장을 두르고 별도의 공간을 이루고 있으며, 내삼문과 사당인 대성전으로 이루어져 있다. 대성전에는 중국과 한국의 유교 성현 27인의 위패가 모셔져 있고, 지금도 매년 음력 2월과 음력 8월에 제례를 거행한다.
참고자료
- 『경상북도의 향교건축』, 국립문화재연구소, 2003, 315~332쪽. → 건립 시기 1415년.
- 예안향교, 디지털안동문화대전. http://andong.grandculture.net/andong/toc/GC02400915 → 예안향교는 1415년(태종 15) 예안군에 설치하였던 향교이다. 1601년(선조 34)에 고쳤고, 1745년(영조 21)에 크게 수리하였다. 1841년에 보수하고 1900년에 현감 남정필(南廷弼)이 중수하였으며, 1954년에 교장 이탁(李鐸)이 중수하였다. 1981년에 전교(典校) 이윤항(李潤恒)이 도와 군에서 지원을 받아 명륜당·동재(東齋)·서재(西齋)·전사청(典祀廳)·주사·원장(垣墻) 등을 보수하였다.
- 예안향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37993 → 1415년(태종 15)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1490년에 중수하고 1569년에 현감 손영제(孫英濟)가 중수하였으며, 1625년에 중수하고 1745년에 현감 김광수(金光遂)가 중수하였다. 1841년에 보수하고 1900년에 현감 남정필(南廷弼)이 중수하였으며, 1954년에 교장 이탁(李鐸)이 중수하였다. 1981년에 전교(典校) 이윤항(李潤恒)이 도와 군에서 지원을 받아 명륜당·동재(東齋)·서재(西齋)·전사청(典祀廳)·주사(厨舍)·원장(垣墻) 등을 보수하였다. / 대성전에는 5성(五聖), 송조4현(宋朝四賢), 우리나라 18현(十八賢)의 위패를 봉안하고 있다.
- 예안향교 `양호루` 500년전 모습 되찾아, 경북매일, 2010.3.18. https://www.kbmaeil.com/news/articleView.html?idxno=158199 → 양호루는 예안향교의 문루로서 조선 태종 11년(1411년)에 예안향교의 건립과 함께 세워진 건축물로서 학풍과 교화의 근원인 예안향교와 역사를 같이 했으며, 도의에 뿌리를 박고 공명정대함에 부끄럼이 전혀 없는 호연지기의 기상에서 비롯됐다.
- 예안향교, 안동관광 https://www.tourandong.com/public/search/default.cshtml?q=%EC%98%88%EC%95%88%ED%96%A5%EA%B5%90 → 처음 건립된 것은 조선 초기이며 1541년(명종 2)에 처음 중수하였으며, 1601년(선조 24)에 참의 조목이 대중건하였다. 1746년(영조 22) 현감 김광수, 이의겸 등이 개수하였고, 1848년(헌종 14), 교리 이만현 등에 의해 수리되었다고 한다. 1982년에 고직사를 신축하였다.
- 禮安鄕校(예안향교), 草阿(초아)의 삶과 그리움, 개인 블로그, 2016.8.1 http://blogs.chosun.com/pts47/2016/08/01/%EF%A6%B6%E5%AE%89%E9%84%95%E6%A0%A1%EC%98%88%EC%95%88%ED%96%A5%EA%B5%90-2/
- 예안향교, 낭만적 이데아, 네이버 블로그, 2017.7.24. https://blog.naver.com/pjk3108/221058668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