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안향교
예안향교 |
|
![]() 예안향교,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
|
대표명칭 | 예안향교 |
---|---|
한자 | 禮安鄕校 |
주소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204-1 |
지정(등록) 종목 |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28호 |
지정(등록)일 | 1973년 8월 31일 |
분류 | 유적건조물/교육문화/교육기관/향교 |
수량/면적 | 6동 |
웹사이트 | 예안향교,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
|
해설문
기존 국문
이 건물은 조선 세종(世宗) 2년(1420)에 처음 건립되었다. 명종(明宗) 2년(1541)에 중수하였으며, 선조(宣祖) 24년(1601)에 중건하였다.
도산서원(陶山書院) 가까이 위치한 이 건물은 병렬식으로 배치되어 있다. 명륜당 앞에 동서재가 위치해 있고 뒤에는 전사청이 있다. 대성전은 정면 3칸, 측면 3칸의 맞배지붕 건물로 공자(孔子)를 모시고 있다. 명륜당은 정면 3칸, 측면 2칸 건물로 후학을 양성하는 공간이었다. 대개 명륜당과 대성전을 앞뒤에 배치하는데, 명륜당을 대성전 왼쪽에 배치한 점이 특이하다. 현재 봄․가을 향사는 2월과 8월의 상정일(上丁日)에 시행된다.
수정 국문
초고
향교는 고려시대와 조선시대 지방에서 유학을 교육하기 위하여 설립한 국립교육기관이다. 덕행과 학문의 모범을 보인 성현에게 제사를 올리며, 유교의 경전과 역사, 시나 문장을 짓는 법을 가르쳤다.
예안향교는 조선 태종 15년(1415)에 창건되었다고 한다. 이후 여러 차례 중수되었으며, 지금의 건물들은 1980년대에 고쳐 지은 것이다.
예안향교는 강당인 명륜당이 왼쪽 아래편에 비켜서 있고, 오른편 높은 곳에 담을 두른 별도의 영역 안에 사당인 대성전이 자리하고 있어, 주요 건물들이 일직선을 이루는 일반적인 향교의 건물 배치와는 다른 모습을 보여준다.
명륜당 앞에는 학생들의 기숙사인 동·서재(東·西齋)가 있고, 뒤에는 교직사와 전사청이 자리하고 있다.
대성전에는 중국과 우리나라의 유교 성현 27인의 위패가 모셔져 있다. 지금도 매년 음력 2월과 음력 8월에 이들에 대한 제례를 거행한다.
- 건립 시기 확인 필요 / 가장 빈도가 높은 1415년으로 정리한 상태 -> 향교건축 서적 및 안동문화대전에는 1415년, 기존 국문에는 1420년, 신문기사에는 1411년, 안동관광 홈페이지, 블로그에는 ‘조선초기(=미상)’으로 되어 있음.
- 양호루는 2010년에 복원되었다.
1차 수정
향교는 고려시대와 조선시대 지방에서 유학을 교육하기 위하여 설립한 국립교육기관이다. 덕행과 학문의 모범을 보인 성현에게 제사를 올리며, 유교의 경전과 역사, 시나 문장을 짓는 법을 가르쳤다.
예안향교는 태종 15년(1415)에 창건된 것으로 전한다. 이후 여러 차례 중수되었으며, 지금의 건물들은 1980년대에 고쳐 지은 것이다.
일반적인 향교 건축에서는 주요 건물들이 앞뒤로 일직선을 이루도록 배치되지만, 예안향교는 왼쪽에 강학공간이 있고 오른쪽에 제향공간이 배치된 형태이다. 강학공간에는 앞쪽에서부터 정문, 기숙사인 동재·서재, 강당인 명륜당이 있고, 명륜당 뒤에는 교직사와 전사청이 자리하고 있다. 제향공간은 담장을 두르고 별도의 공간을 이루고 있으며, 내삼문과 사당인 대성전으로 이루어져 있다. 대성전에는 중국과 우리나라의 유교 성현 27인의 위패가 모셔져 있고, 지금도 매년 음력 2월과 음력 8월에 제례를 거행한다.
- 자료마다 건립 시기가 달리 기술되어 있음. 현재 국문에는 1415년으로 썼으나 확인 필요. → 『경상북도의 향교건축』 및 디지털안동문화대전에는 1415년, 기존 국문에는 1420년, 경북매일 기사에는 1411년, 안동관광 홈페이지에는 ‘조선 초기’으로 되어 있음.
문맥요소
Nodes
ID | Class | Label | Description |
---|
Links
Source | Target | Relation |
---|
참고자료
- 『경상북도의 향교건축』, 국립문화재연구소, 2003, 315~332쪽. → 건립 시기 1415년.
- 예안향교, 디지털안동문화대전. http://andong.grandculture.net/andong/toc/GC02400915 → 예안향교는 1415년(태종 15) 예안군에 설치하였던 향교이다. 1601년(선조 34)에 고쳤고, 1745년(영조 21)에 크게 수리하였다. 1841년에 보수하고 1900년에 현감 남정필(南廷弼)이 중수하였으며, 1954년에 교장 이탁(李鐸)이 중수하였다. 1981년에 전교(典校) 이윤항(李潤恒)이 도와 군에서 지원을 받아 명륜당·동재(東齋)·서재(西齋)·전사청(典祀廳)·주사·원장(垣墻) 등을 보수하였다.
- 예안향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37993 → 1415년(태종 15)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1490년에 중수하고 1569년에 현감 손영제(孫英濟)가 중수하였으며, 1625년에 중수하고 1745년에 현감 김광수(金光遂)가 중수하였다. 1841년에 보수하고 1900년에 현감 남정필(南廷弼)이 중수하였으며, 1954년에 교장 이탁(李鐸)이 중수하였다. 1981년에 전교(典校) 이윤항(李潤恒)이 도와 군에서 지원을 받아 명륜당·동재(東齋)·서재(西齋)·전사청(典祀廳)·주사(厨舍)·원장(垣墻) 등을 보수하였다. / 대성전에는 5성(五聖), 송조4현(宋朝四賢), 우리나라 18현(十八賢)의 위패를 봉안하고 있다.
- 예안향교 `양호루` 500년전 모습 되찾아, 경북매일, 2010.3.18. https://www.kbmaeil.com/news/articleView.html?idxno=158199 → 양호루는 예안향교의 문루로서 조선 태종 11년(1411년)에 예안향교의 건립과 함께 세워진 건축물로서 학풍과 교화의 근원인 예안향교와 역사를 같이 했으며, 도의에 뿌리를 박고 공명정대함에 부끄럼이 전혀 없는 호연지기의 기상에서 비롯됐다.
- 예안향교, 안동관광 https://www.tourandong.com/public/search/default.cshtml?q=%EC%98%88%EC%95%88%ED%96%A5%EA%B5%90 → 처음 건립된 것은 조선 초기이며 1541년(명종 2)에 처음 중수하였으며, 1601년(선조 24)에 참의 조목이 대중건하였다. 1746년(영조 22) 현감 김광수, 이의겸 등이 개수하였고, 1848년(헌종 14), 교리 이만현 등에 의해 수리되었다고 한다. 1982년에 고직사를 신축하였다.
- 禮安鄕校(예안향교), 草阿(초아)의 삶과 그리움, 개인 블로그, 2016.8.1 http://blogs.chosun.com/pts47/2016/08/01/%EF%A6%B6%E5%AE%89%E9%84%95%E6%A0%A1%EC%98%88%EC%95%88%ED%96%A5%EA%B5%90-2/
- 예안향교, 낭만적 이데아, 네이버 블로그, 2017.7.24. https://blog.naver.com/pjk3108/221058668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