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하남 동사지

HeritageWiki
Songyi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1년 5월 10일 (월) 15:09 판 (자문의견)

이동: 둘러보기, 검색


하남 동사지
Dongsa Temple Site, Hanam
하남 동사지 ,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하남 동사지
영문명칭 Dongsa Temple Site, Hanam
한자 河南 桐寺址
주소 경기도 하남시 서하남로418번길 73 (춘궁동)
지정(등록) 종목 사적 제352호
지정(등록)일 1991년 8월 24일
분류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사찰
시대 삼국시대
수량/면적 45,040㎡
웹사이트 하남 동사지 ,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기존 국문

이성산(二聖山) 남쪽 고골저수지 옆의 야산 기슭에 자리잡은 고려 초기의 대규모 절터이다. 1988년의 발굴조사를 통해 원래 이곳에 있던 절의 명칭과 규모, 건립시기 등을 알 수 있게 되었다. 당시의 조사에서 금당 등 네 곳의 건물터가 드러났으며, 금동불상, 각종 기와류, 청동 불기류 및 도자기 등 많은 유물이 출토되었는데, 그 중에 ‘동사(桐寺)’ 라는 명문이 새겨진 기와가 발견되어 이곳이 동사의 옛터라는 것을 알게 되었으며, 10세기경에 새롭게 지었다는 사실도 알게 되었다. 금당 터는 현재의 대웅전 주변에 있는 넓은 평지로 약 2m 높이의 기단 위에 거칠게 다듬은 사각 초석이 줄지어 있는데, 초석 배열로 미루어 볼 때 금당은 정면 7칸 측면 6칸의 2층 불전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규모는 신라시대 경주 황룡사의 금당에 필적하는 규모이다. 금당의 중앙에는 본존불대좌의 하대석으로 생각되는 팔각형 석재가 남아 있는데, 지름이 5.1m에 달하여 당대 최대 규모인 것으로 판단된다. 금당 터 동편에는 하남 동사지 3층석탑(보물제13호) 과 5층석탑(보물제12호)이 나란히 서 있어 금당이 쌍탑을 마주하고 남동향으로 배치되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수정 국문

초고

  • 종합안내판

남한산성과 이성산성이 보이는 분지에 자리한 이곳은 고려 초기에 존재했던 ‘동사(桐寺)’의 옛터이다.

1988년 판교-구리 간 순환고속도로가 건설될 당시 동국대학교 박물관에 의해 발굴조사가 실시되었다. 그 결과 총 4개의 구역에서 금당터를 포함한 건물지들이 확인되었으며, 금동불상, 기와, 도자기, 청동불구류(靑銅佛具類) 등이 출토되었으며, 발견된 유물들은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이곳에 있었던 사찰에 대한 문헌 기록은 남아 있지 않으나, 1911년에 이미 고려 초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철불(보물 제332호)이 출토된 바 있었다. 발굴조사 과정에서 ‘광주동사(廣州桐寺)’ 라는 글씨가 새겨진 기와가 발견되면서 이곳이 10세기 무렵 사찰이 존재했던 절터라는 사실을 알 수 있게 되었다.

동사는 통일신라 말에서 고려 초에 이르는 시점에 지어진 거대한 규모의 사찰로 조선 전기까지도 남아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폐사된 시기나 그 외 절의 내력에 대해서는 아직 알려진 것이 없다.

금당지 남동쪽에는 하남 동사지 오층석탑(보물 제12호)과 삼층석탑(보물 제13호)이 나란히 서 있어 금당이 쌍탑과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 금당지에는 대원사의 법당이 조성되어 있다.

  • 출토된 불상은 현존하는 철불 중에서 가장 규모가 큰 것으로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 수장되어 있다.

1차 수정

  • 종합안내판

동사지는 이성산성 남쪽 금암산 기슭에 자리한 절터이다. 절터 일대에 백제시대의 토기와 기와 조각이 산재해 있어 백제시대에 창건된 사찰일 가능성이 높으며, 조선 전기까지 거대한 규모로 사세가 확장되다가 이후 폐사된 것으로 추정된다. 그 외 절의 내력에 대해서는 정확히 알려진 바가 없다.

1988년 판교-구리간 순환고속도로가 건설될 당시 동국대학교 박물관이 발굴조사하였으며, 그 결과 불상이 놓였던 대좌의 기단부로 추정되는 석재와 금당터를 포함한 여러 건물지들이 확인되었다. 출토된 유물로는 토기와 기와 조각, 저울추, 금동불상, 청동불구류 등이 있다. 특히 ‘동사(桐寺)’와 ‘동사(同寺)’라는 글자가 새겨진 기와가 발견되어, 이곳에 있던 절의 이름과 10세기경 새로 지어졌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절터의 중심부에 해당하는 금당 자리 옆에는 2개의 석탑(보물 제12호, 제13호)이 나란히 서 있어 금당이 두 탑과 마주하여 남동향으로 배치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 동사지에는 대원사*라는 사찰의 법당이 조성되어 있다.

  • 자료에 따라 현재 사찰 명칭이 대원사 또는 다보사로 달리 기술됨. 현재 사찰의 이름이 무엇인지 확인 필요.

자문의견

  1. 분야별 자문위원 1
    • 현재까지 한성기의 절터가 확인된 사례가 없기 때문에 동사지 일대에 산재된 토기와 기와편이 백제 것인지 제대로 재평가할 필요가 있음. 따라서 가능성을 제기하는 정도로 그치는 것이 바람직함. ‘절터 일대에 백제시대의 토기와 기와 조각이 산재해 있어 백제시대에 창건된 사찰일 가능성이 높으며’->‘절터 일대에 백제 때 것으로 여겨지는 토기와 기와 조각이 산재해 있어 이곳에 백제 때 절이 세워졌을 가능성이 있으며,’
  2. 분야별 자문위원 2
    • “절터 일대에 백제시대의 토기와 기와 조각이 산재해 있어 백제시대에 창건된 사찰일 가능성이 높으며, 조선 전기까지 거대한 규모로 사세가 확장되다가 이후 폐사된 것으로 추정된다.”라는 구절은 단순 추정에 불과하여 기술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함.-> “1983년 ‘광주동사(廣州桐寺)’명 와편이 보고되면서 절의 이름이 알려졌으며, 사역은 현재의 춘궁저수지 일대로 상당히 넓었던 것으로 보인다. 발굴조사에서 출토된 연꽃무늬 수막새 등으로 보아 통일신라시대에 창건된 것으로 추정된다.”
    • “특히 ‘동사(桐寺)’와 ‘동사(同寺)’라는 글자가 새겨진 기와가 발견되어, 이곳에 있던 절의 이름과 10세기경 새로 지어졌다는 사실이 밝혀졌다.”는 인과 관계가 불명확하므로 명확하게 수정 기술할 필요가 있음.
  3. 읽기 쉬운 문안 자문위원
    • 동사지는 이성산성 남쪽 금암산 기슭에 자리한 절터이다. 절터 일대에 백제시대의 토기와 기와 조각이 산재(여기저기 흩어져)해 있어 백제시대에 창건(처음 세운) 사찰일 가능성이 높다.

조선시대 초기까지 거대한 규모로 사세가 확장되다가 이후 폐사(못쓰게 된 사찰)된 것으로 추정된다. 그 외 절의 내력에 대해서는 정확히 알려진 바가 없다. 1988년 판교-구리간 순환고속도로가 건설될 당시 동국대학교 박물관이 발굴조사하였다. 그 결과 불상이 놓였던 대좌의 기단부로 추정되는 석재와 금당터를 포함한 여러 건물지들이 확인되었다. 출토된 유물로는 토기와 기와 조각, 저울추, 금동불상, 청동불구류 등이 있다. 특히‘동사(桐寺)’와 ‘동사(同寺)’라는 글자가 새겨진 기와가 발견되어, 이곳에 있던 절의 이름과 10세기경 새로 지어졌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절터의 중심부에 해당하는 금당 자리 옆에는 2개의 석탑(보물 제12호, 제13호)이 나란히 서있어 금당이 두 탑과 마주하여 남동향으로 배치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 동사지에는 대원사*라는 사찰의 법당이 조성되어 있다.

문맥요소

Nodes

ID Class Label Description
하남_동사지 Place 하남_동사지
D00-0352-0000 Heritage 하남_동사지
판교_구리_순환고속도로_건설 Event 판교_구리_순환고속도로_건설
1988년_발굴조사 Event 1988년_발굴조사
국립중앙박물관 Actor 국립중앙박물관
하남_동사지_오층석탑 Object 하남_동사지_오층석탑
하남_동사지_삼층석탑 Object 하남_동사지_삼층석탑
동국대학교_박물관 Actor 동국대학교_박물관
하남_동사지_출토유물 Object 하남_동사지_출토유물


Links

Source Target Relation
하남_동사지 판교_구리_순환고속도로_건설 isRelatedTo
하남_동사지 D00-0352-0000 isDesignatedAs
판교_구리_순환고속도로_건설 1988년_발굴조사 isRelatedTo
하남_동사지_출토유물 국립중앙박물관 currentLocation
하남_동사지 하남_동사지_오층석탑 hasPart
하남_동사지 하남_동사지_삼층석탑 hasPart
동국대학교_박물관 1988년_발굴조사 servesAs

갤러리

참고자료

  • 문화재청, 『문화재대관 사적 제1권』, 2010, 324~329쪽.
  • 경기도, 경기문화재연구원, 『경기도 문화재 총람 국가지정편_2』, 2019, 104~105쪽.
  • 하남 동사지, 국가문화유산포털.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333103520000 → 동북으로 남한산성과 이성산성이 보이는 분지에 있는 절터이며, 발굴조사시 금당터와 4곳의 건물터의 흔적이 발견되었다. 부처를 모시는 건물인 금당은 당시 매우 큰 건물이었고, 금당안에는 지름 5.1m의 8각 대좌 위에 부처를 모셨다. 유물로는 금동불상·기와·도자기·동으로 만든 불기류 등이 나왔고 ‘동사(桐寺)’라는 글씨를 새긴 기와가 나와 이 절의 이름이 동사였음을 알게 해준다. 절터에는 현재 두개의 석탑(보물 제12호, 제13호)이 있다. 후삼국시대에서 고려 전기에 이르는 시기에 지어졌으며, 웅장하고 거대한 규모의 절로서 조선 전기까지 남아 있었으나 그 후에 폐사된 것으로 보인다.
  • [경기정명 1000년, 경기문화유산서 찾다] 11. 하남 동사지 오층석탑과 삼층석탑, 경기일보, 2018. 5. 3. http://www.kyeonggi.com/news/articleView.html?idxno=1472069 → 1911년 동사지에서 고려시대의 철불이 출토되었다. 보물 제332호로 지정된 이 철불은 현존하는 철불 중에서 가장 규모가 큰 것으로 국립 중앙박물관에 수장되어 있다. 넓고 반듯한 이마에 긴 눈초리가 위로 치켜 올라가고, 얼굴에 비해 인중이 짧고 입이 작아 부처의 자비보다 고려인의 강인한 기상이 느껴지는 불상이다. 왕건의 얼굴로 알려진 철불도 있을 만큼 고려 초에 철불이 유행했던 사실도 주목된다. 철불이 발견된 동사는 태조 왕건의 정치세력 기반과 깊이 관련이 있다.
  • “하남 동사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60556
  • <참고>하남 하사창동 철조석가여래좌상, 국가문화유산포털.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121103320000&pageNo=1_1_1_1 → 하남 하사창동 철조석가여래좌상(河南 下司倉洞 鐵造釋迦如來坐像)은 경기도 광주군 동부면 하사창리의 절터에서 발견된 고려시대의 철불 좌상이다. 당당한 어깨와 두드러진 가슴은 석굴암 본존불의 양식을 이어 받은 것이며, 날카로운 얼굴 인상과 간결한 옷주름의 표현은 고려 초기 불상의 전형적인 표현 기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