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주 탄현봉수
완주 탄현봉수 |
|
대표명칭 | 완주 탄현봉수 |
---|---|
한자 | 完州 炭峴烽燧 |
주소 | 전라북도 완주군 운주면 금당리 산 45 |
지정(등록) 종목 | 전라북도 기념물 제139호 |
지정(등록)일 | 2019년 11월 15일 |
분류 | 유적건조물/교통통신/통신/봉수 |
시대 | 삼국시대 |
수량/면적 | 1기 |
웹사이트 | 완주 탄현봉수,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
|
해설문
기존 국문
없음.
수정 국문
초고
봉수(烽燧)는 불[밤]과 연기[낮]를 이용한 통신수단과 그 시설을 말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삼국시대부터 봉수를 이용하였으며 조선말까지 운영하다 근대 통신시설이 도입되면서 1894년 갑오개혁(甲午改革) 때 폐지하였다. 봉수는 평상시 1거(炬)를 유지하며 유사시 상황에 따라 최대 5거[적이 침입하여 교전]까지 올라간다.
완주 탄현봉수는 완주군 운주면 소재 탄현 서쪽 능성의 해발 457.4m 정상에 자리하고 있다. 석축시설은 자연암반 위에 장방형 할석을 이용하여 축조되었고, 현재 서벽 전체 및 동벽 일부가 훼손되어있으나, 북벽과 남벽은 잔존상태가 양호하다. 축조방식은 암반 위에 가로눕혀쌓기를 적용하여 정교하게 축조하였고 상부로 올라 갈수록 들여쌓기를 하였다. 잔존규모는 상단부 직경이 750cm, 하단부 직경이 840cm이며, 높이는 365cm 정도 이다.
현재의 원통형 석축시설 아래에서 방형 석축이 일부 확인된 것으로 확인되어 현존하는 석축시설은 방형의 석축시설 이후에 개축된 것으로 추정된다. 발굴조사에서 회청색 경질토기편과 백제의 기와편이 수습된 것으로 보아 석축은 백제 후기에 조성된 것으로 파악된다. 백제의 봉수 형태가 방향인 점과 가야계 유물이 확인되는 인근의 봉수 형태가 원통형임을 감안하였을 때 백제에 운영하던 탄현봉수가 한시적으로 가야에서 운영, 폐기된 것으로 추정된다.
완주 탄현봉수는 삼국시대 관방체계의 이해와 전북지역 가야사 복원을 위한 매우 중요한 유적으로 학술·문화적으로 높은 가치를 지니고 있다.
1차 수정
문맥요소
Nodes
Links
참고자료
- 완주 탄현봉수 지정신청 자료 참고
- 위키백과 ‘보루’https://ko.wikipedia.org/wiki/%EB%B3%B4%EB%A3%A8_(%EA%B1%B4%EC%B6%95)
-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탄현 봉수대’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pageNo=1_1_1_1&ccbaCpno=3413602630000
- Cultural Heritage Wiki ‘충주 대림산 봉수’http://dh.aks.ac.kr/~heritage/wiki/index.php/%EC%B6%A9%EC%A3%BC_%EB%8C%80%EB%A6%BC%EC%82%B0_%EB%B4%89%EC%88%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