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암 각자
농암 각자 Inscriptions for Nongam |
|
대표명칭 | 농암 각자 |
---|---|
영문명칭 | Inscriptions for Nongam |
한자 | 聾巖 刻字 |
주소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분천리 산11-17번지 |
지정(등록) 종목 |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43호 |
지정(등록)일 | 1973년 8월 31일 |
분류 | 기록유산/서각류/금석각류/석각류 |
수량/면적 | 일괄 |
웹사이트 | 농암각자,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
|
해설문
기존 국문
이 각자는 앞면을 다듬은 네 개의 자연석 암벽에 ‘농암선생정대구장’이라고 두 글자씩 음각으로 새겨놓은 것을 말한다. 일제강점기에 도로개설로 인하여 농암의 정자인 애일당(愛日堂)을 영지산 윗쪽으로 이전하면서 처음 있던 자리를 기념하기 위하여 새겨놓은 것이다. 원래 분천동 옛 애일당터에 있던 것을 안동댐 건설로 인하여 글자부분만을 잘라 옛 애일당 아래로 옮겼다가 2005년 현 위치로 다시 옮겼다.
'농암'은 원래 이현보(李賢輔)가 태어나고 자란 분천 강가의 큰바위 이름이었는데 훗날 이것으로 호를 삼았다. 그는 혼란했던 세상 속에서 이 바위처럼 귀먹은 듯 초연히 살기를 원했다. 농암은 45세 되던 해에 이 바위[농암] 위에 애일당을 지었다. 그리고는 75세에 벼슬에서 물러난 후 농암이 있는 분천 강가에 배를 띄워 뱃놀이를 하면서 강호의 즐거움을 마음껏 누리다가 이 곳 분천에서 삶을 마쳤다.
수정 국문
초고
이곳에 있는 4개의 바위는 이현보가 세운 애일당(愛日堂)의 원래 자리를 기념하기 위해 글자를 새겼던 암벽을 잘라 옮겨 온 것이다.
애일당은 이현보가 나이 든 부모를 기쁘게 하기 위해 귀먹바위[耳塞巖]라고 불리던 바위 옆 분강(汾江)이 내려다보이는 자리에 중종 7년(1512) 지었던 별당이다. 이현보는 이곳에서 구노회(九老會)를 결성해 아버지를 비롯한 어른들을 모시고 잔치를 열었다고 한다.
일제강점기에 예안에서 도산까지 도로를 개설하면서 당시 분천동(汾川洞)에 있었던 애일당(愛日堂)을 영지산 위로 옮기게 되었고, 애일당이 있던 자리 옆의 암벽에 ‘농암선생정대구장(壟巖先生亭臺舊庄)’이라는 여덟 글자를 새겼다.
이후 안동댐 건설로 인해 1975년에 글자 부분만 잘라서 같은 해 안동시 도산면 분천리로 옮겨진 애일당 아래로 옮겼고, 2005년 농암 유적지를 정비하면서 지금의 위치로 다시 옮겨왔다.
글자 하나의 크기는 대략 75㎝ 정도로 큰 편이다.
- ‘농암'은 원래 이현보(李賢輔)가 태어나고 자란 분천 강가의 큰바위 이름이었는데 훗날 이것으로 호를 삼았다. 농암은 45세 되던 해에 이 바위[농암] 위에 애일당을 지었다.
- 안동 지역의 음각 글씨로는 가장 크다. 그중 ‘농암(聾巖)’ 두 자를 새긴 바위는 길이 5m, 두께 2.5m, ‘정대(亭臺)’ 두 자를 새긴 바위는 길이 4m, 너비 2m, 두께 2m, ‘구장(舊庄)’ 두 자를 새긴 바위는 길이 4m, 너비 3m, 두께 3m의 크기이다.
1차 수정
문맥요소
Nodes
ID | Class | Label | Description |
---|---|---|---|
이현보 | Actor | 이현보(李賢輔,_ 1467-1555) | |
농암_각자 | Object | 농암_각자 | |
애일당 | Place | 애일당 | |
분강 | Place | 분강 | |
영지산 | Place | 영지산 | |
일제강점기_도로_건설 | Event | 일제강점기_도로_건설 | |
농암_유적지_정비 | Event | 농암_유적지_정비 | |
안동댐_건설 | Event | 안동댐_건설 | |
농암_종택 | Place | 농암_종택 |
Links
Source | Target | Relation |
---|---|---|
애일당 | 이현보 | constructor / founder |
농암_각자 | 애일당 | isRelatedTo |
애일당 | 일제강점기_도로_건설 | isRelatedTo |
애일당 | 안동댐_건설 | isRelatedTo |
애일당 | 농암_유적지_정비 | isRelatedTo |
애일당 | 분강 | formerLocation |
애일당 | 영지산 | formerLocation |
농암_각자 | 애일당 | isNear |
농암_종택 | 애일당 | isNear |
참고자료
- 농암종택, 국어교사 박전현입니다, 네이버 블로그, 2018.12.5. https://blog.naver.com/9594jh/221412623203 → 농암은 ‘귀 먹은 바위’라는 뜻으로, 이현보가 스스로 지은 호이기도 하다. 분천동 옛 애일당터에 있던 것을 안동댐 건설로 인하여 글자부분만을 잘라 옛 애일당 아래로 옮겼다가 2005년 현 위치로 다시 옮겼다.
- 농암각자, 디지털안동문화대전 ttp://andong.grandculture.net/andong/toc/GC02400776 → 농암각자는 일제강점기 예안~도산 간 지방도로 개설로 인해 당시 분천동(汾川洞)에 위치하던 이현보의 정자인 애일당(愛日堂)을 1차로 인근 영지산 위로 옮기면서 옛 자리를 기념하기 위하여 바위에 새긴 글씨이다. 안동시 도산면 가송리 612번지 농암 종택 애일당 앞 강변에 위치한다. 강 건너 암벽 등 주변 자연 경관과 조화를 잘 이루며 배치되어 있다. 농암각자는 전면을 다듬은 네 개의 큰 바위 면에 한자로 ‘농암선생정대구장(壟巖先生亭臺舊庄)’이라는 8자가 두 자씩 새겨져 있다. 한 글자의 크기는 대략 75㎝ 정도로 매우 큰 글씨로 새겨졌다. 경치 좋은 곳의 바위벽에 글자를 새기는 것은 그 유래가 신라시대까지 소급된다고 하나, 이와 같이 큰 글씨는 다른 곳에서는 찾아보기 어렵다. 안동 지역의 음각 글씨로는 가장 크다. 그중 ‘농암(聾巖)’ 두 자를 새긴 바위는 길이 5m, 두께 2.5m, ‘정대(亭臺)’ 두 자를 새긴 바위는 길이 4m, 너비 2m, 두께 2m, ‘구장(舊庄)’ 두 자를 새긴 바위는 길이 4m, 너비 3m, 두께 3m의 크기이다. 안동댐 건설로 물속에 잠기는 것을 막기 위해 바위에서 글자만 떼어내 1975년 도산면 분천리 산11-1번지에서 분천리 산11-17번지로 옮겼으나, 이후 농암유적지정비사업으로 인하여 도산면 가송리 현 위치로 다시 옮겨졌다.
- [애일당] 항목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