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장도장

HeritageWiki
My9univ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1년 4월 8일 (목) 14:11 판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장도장_박종군.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273600600000 장도장], 국가문화...)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장도장
Jangdojang (Ornamental Knife Making)
장도장,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장도장
영문명칭 Jangdojang (Ornamental Knife Making)
한자 粧刀匠
주소 전라남도 광양시 광양읍 매천로 771 (장도전수교육관)
지정(등록) 종목 국가무형문화재 제60호
지정(등록)일 1978년 2월 23일
분류 무형문화재/전통기술/공예
웹사이트 장도장,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기존 국문

장도는 몸에 지니고 다니는 조그마한 칼이다. 고려시대부터 성인 남녀가 호신용으로 휴대했다. 특히 조선시대 임진왜란 이후부터는 사대부 가문 부녀자들이 순결을 지키기 위해 지니고 다니던 필수품이었다. 조선 후기 들어서는 몸 단장용 노리개로 사치품화되면서 한층 정교해졌다. 장도 중에서 몸에 차는 칼은 패도(佩刀), 주모니 속에 넣어 다니던 칼은 낭도(囊刀)라고 한다. 재료에 따라 금장도, 은장도, 백옥장도 등이 있다. 특히 은장도는 시집가는 딸에게 ‘정절의 표상’으로 마련해주기도 했다. 낙죽장도(烙竹長刀)는 선비들이 대나무에 좋아하는 시문을 새겨 가지고 다니던 칼이다. 장도는 서울을 중심으로 울산, 영주, 남원, 광양 등지에서 많이 만들어졌고, 그중에서도 광양 장도가 뛰어났다. 역사가 오래됐고, 섬세하고 다양하며, 한국적 우아함과 섬세한 공예미를 보여준다는 평가를 받았다. 장도장은 장도를 만드는 기능을 가진 사람이다. 광양에서 오래전부터 전통 장도 제작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박용기(朴龍基) 씨가 중요무형문화재 제 60호로 지정받았다.

수정 국문

초고

1차 수정

문맥요소

Nodes

Links

참고자료

참고사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