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만취당

HeritageWiki
Maria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1년 3월 30일 (화) 01:29 판 (영문)

이동: 둘러보기, 검색


만취당
Manchwidang Pavilion
만취당,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만취당
영문명칭 Manchwidang Pavilion
한자 晩翠堂
주소 경상북도 영주시 이산면 신암리 165번지
지정(등록) 종목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451호
지정(등록)일 2003년 12월 15일
분류 유적건조물/주거생활/주거건축/가옥
수량/면적 1동
웹사이트 만취당,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만취당은 임진왜란 때 의병장으로 큰 공을 세운 김개국이 선조 20년(1587)에 지은 정자이다. 건물 서쪽에 있는 수백 그루의 소나무들이 사시사철 푸름을 잃지 않는 것을 보고 이를 본보기 삼아 당호를 만취당이라 하고 아호로도 삼았다.

앞면 3칸, 옆면 2칸 규모의 팔작지붕 집으로 왼쪽은 마루방 4통간, 오른쪽은 온돌방 2통간이 배치되었으며, 방 주변에는 폭이 좁은 쪽마루를 돌렸다. 온돌방 뒷면에는 반침* 흔적이 남아 있고, 마루방 오른쪽 칸 뒤에는 반침이 설치되어 있다. 건물 뒤편에는 만취당의 위패를 모신 사당이 세워져 있다.

건립연대가 확실하고 중수 내용까지 밝혀져 있으며, 상부구조와 창호구성, 치목수법 등에서 건축연대와 중수시기에 부합하는 부분들이 잘 보존되고 있다. 조선 후기 정자 구조를 잘 보여주는 귀중한 자료이다.


  • 반침 : 방 옆에 딸려 물건을 넣어 두는 작은 방

영문

Manchwidang Pavilion

This pavilion was built by Gim Gae-guk (1548-1603), a civil official of the Joseon period (1392-1910).

Gim passed the state examination in 1591 and served various official posts. It is said that in whenever he was appointed a local governor, he would command admiration for his wise management. With the outbreak of the Japanese invasions in 1592, he fought actively as a commander/leader of a civilian army. The phrase “manchwi (晩翠)” in the pavilion’s name means "evergreen" and symbolizes one's unchanging principles. Gim marveled at the hundreds of pine trees growing west of the building and their ability to stay green all year round. That inspired him to give the pavilion its name and to adapt it as his pen name.

The pavilion has a wooden-floored hall on the left, an underfloor-heated room on the right, and narrow wooden verandas on all sides. There is a small closet at the back of the wooden-floored hall.

Behind the pavilion is an area surrounded by and enclosure wall with an inner gate, within which stands a shrine with the spirit tablet of Gim Gae-guk,

영문 해설 내용

이 정자는 조선시대의 문신 김개국(1548-1603)이 1587년에 세웠다.

김개국은 1591년 과거에 급제해 여러 벼슬을 지냈으며, 지방관으로 부임할 때마다 선정을 베풀어 칭송을 받았다고 한다. 임진왜란이 일어났을 때에는 의병장으로 활약하기도 했다. 정자의 이름은 ‘겨울에도 변하지 않는 초목의 푸른빛’이라는 뜻이다. 김개국은 건물 서쪽에 있는 수백 그루의 소나무들이 사시사철 푸름을 잃지 않는 것을 보고, 이를 본보기 삼아 정자의 이름을 지었고 자신의 호로 삼았다.

왼편에는 마루방을 두고 오른편에는 온돌방을 배치하였으며, 사면에 폭이 좁은 쪽마루를 깔았다. 마루방 뒤쪽에는 반침이 설치되어 있다.

정자 뒤쪽에는 내삼문과 담장을 세워 별도의 영역을 만들고, 김개국의 위패를 모신 사당을 두었다.

  • 만취당 이름 설명은 만취정 참고.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