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고사 신중탱화
HeritageWiki
My9univ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1년 3월 19일 (금) 14:50 판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북고사신중탱화.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113501870000 북고사 신중탱화...)
북고사신중탱화 0 |
|
![]() 북고사 신중탱화,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
|
대표명칭 | 북고사신중탱화 |
---|---|
영문명칭 | 0 |
한자 | 北固寺神衆幀畵 |
주소 | 전라북도 무주군 무주읍 북고사길 67 (읍내리) |
지정(등록) 종목 |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87호 |
지정(등록)일 | 2000년 11월 17일 |
분류 | 유물/불교회화/탱화/보살도 |
시대 | 조선시대 |
수량/면적 | 1점 |
웹사이트 | 북고사 신중탱화,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
|
해설문
기존 국문
이 그림은 조선 순조 31년(1831)에 전계인(田啓仁) 부부가 남자아이 얻기를 기원하면서 화원(畫員)인 장순(莊旬)등으로 하여금 그리게 한 것이다. 그림의 구도와 채색, 그리고 등장인물의 모습이 짜임새가 있으며, 차분하고도 우아한 수준 높은 작품이다. 그림의 상단에는 보살형의 범천과 제석천 및 여러 권속들이 표현되었으며, 그 아래 한 가운데에는 흰 깃털로 장식된 투구를 쓰고 검을 든 위태천이 칼을 들고 서 있다. 그 주위에 용왕과 사천왕 등 신장(神將)들이 합장을 하거나, 혹은 칼이나 금강저 등을 들고 서 있다. 이 탱화는 작은 화면에 간단하게 인물들을 묘사하여 구성이 단조로우면서도 짜임새 있는 구도를 보여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