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광대
HeritageWiki
이슬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1년 2월 23일 (화) 13:39 판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영광대.jpg |사진출처=작성자 조철제, [http://m.gjnews.com/view.php?idx=18804 경주의 조선문화 산책<1>-영광대(影光...)
영광대 |
|
![]() 작성자 조철제, 경주의 조선문화 산책<1>-영광대(影光臺)에 담겨진 의미, 경주신문 2008년 8월 18일자 기사. |
|
대표명칭 | 영광대 |
---|---|
한자 | 影光臺 |
주소 | 경북 경주시 재매정길 47 (교동) |
|
해설문
국문
영광대는 1860년 가을에 경주 선비들이 무너진 월정교의 석재로 사마소에 대(臺)를 쌓은 것이다. 석재 한곳에 가로로 ‘영광대’라는 글씨를 새겼다. 1984년에 월정교 북쪽 끝에 있던 사마소를 지금의 자리로 옮기면서 이 대석은 방치되어 있었는데 2008년에 영광대 각석을 이곳으로 옮겨왔다.
영광대의 ‘영광’은 송나라 주희의 시구에서 두 글자를 인용한 것이다. 하늘빛과 구름 그림자가 함께 배회한다는 뜻으로 책을 읽으면 그 속에 성현의 아름다운 말과 권계(勸誡 : 잘못함이 없도록 타일러 주의시킴)가 되는 글귀가 담겨있다는 의미이다. 이종상(李鍾祥, 1799~1870)의 『정헌선생문집(定軒先生文集)』에 영광대에 대한 기록이 전해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