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릉계곡 마애석가여래좌상
HeritageWiki
이슬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1년 2월 22일 (월) 13:59 판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삼릉계곡마애석가여래좌상.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113701580000 삼릉...)
삼릉계곡 마애석가여래좌상 |
|
![]() 삼릉계곡 마애석가여래좌상,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
|
대표명칭 | 삼릉계곡 마애석가여래좌상 |
---|---|
한자 | 三陵溪谷 磨崖石迦如來坐像 |
주소 | 경북 경주시 남산순환로 341-126 (배동) |
지정(등록) 종목 |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58호 |
지정(등록)일 | 1982년 2월 24일 |
분류 | 유물/불교조각/석조/불상 |
수량/면적 | 1구 |
웹사이트 | 삼릉계곡 마애석가여래좌상,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
|
해설문
국문
높이 7m, 너비 5m의 자연 암벽에 가득 차도록 새긴 불상이다. 머리에서 어깨까지는 높은 돋을새김으로, 가슴 아래는 얕은 선각(線刻)으로 새겼다. 이 처럼 몸부분은 평면적으로 표현하고, 머리를 좀 더 입체적으로 표현하는 방식은 통일신라 하대부터 볼 수 있는 기법이다.
오른손은 위로 들어 가슴 부분에 두고, 왼손은 배 앞에 놓고 있어 손 모양만으로 불상의 이름을 추정하기는 어렵다. 옷주름선은 조밀한 음각선이며, 두 손과 발에 손금이 비교적 세밀하게 그려져 있어 특이하다. 선으로 표현된 몸은 부피감이나 입체감이 거의 없어 투박하고 형식적이어서 고부조로 돋을새김한 얼굴과 대조를 이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