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경주향교 명륜당

Heritage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1년 1월 31일 (일) 01:39 판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경주향교명륜당.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123720970000 경주향교 명륜당...)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주향교 명륜당
Myeongnyundang Lecture Hall of Gyeongjuhyanggyo Local Confucian School
경주향교 명륜당,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경주향교 명륜당
영문명칭 Myeongnyundang Lecture Hall of Gyeongjuhyanggyo Local Confucian School
한자 慶州鄕校 明倫堂
주소 경상북도 경주시 교촌안길 27-20 (교동, 경주향교)
지정(등록) 종목 보물 제2097호
지정(등록)일 2020.12.28
분류 유적건조물 / 교육문화 / 교육기관 / 향교
소유자 경상북도향교재단
관리자 경주향교
시대 조선시대(1614년 중건)
수량/면적 1동



해설문

국문

경주향교 명륜당은 강학(講學) 공간의 중심 건물이다. 광해군 6년(1614) 부윤 이안눌(李安訥)이 중건한 이후로 18세기와 19세기에 중수를 거쳐 지금까지 원형을 유지하고 있다. 건물은 정면 5칸, 측면 3칸의 주심포양식으로 향교 강학공간의 전형을 갖추었다. 단일 건물의 명륜당으로서는 가장 규모가 크다.

중수기 등의 문헌 기록이 남아 있어 건물의 연혁을 자세히 알 수 있고, 기단과 초석에 사용된 석재의 가공이나 익공의 초각, 지붕가구의 구성에서 17세기 건축의 면모를 볼 수 있다. 향교 내 대성전(보물 제1727호)과 호응하는 규모와 품격을 지녔다고 하겠다.

영문

Myeongnyundang Lecture Hall of Gyeongjuhyanggyo Local Confucian School

Myeongnyundang refers to the lecture hall of a local Confucian school. The name means “Hall of Illuminated Human Relations” and is derived from a passage in Mencius, which states that “The object of all educational institutions is to illuminate human relations.”

The lecture hall of Gyeongjuhyanggyo Local Confucian School was burnt down during the Japanese invasions of 1592-1598 and was rebuilt in 1614 on the order of the local magistrate Yi An-nul (1571-1637). It later underwent renovations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Its design is typical of a local Confucian school lecture hall, but is particularly large in size. The stonemasonry seen in the foundation and pillar base stones as well as the woodworking seen in the roof design and roof support brackets are typical of 17th century architecture.

영문 해설 내용

명륜당은 향교에서 강의가 이루어지던 곳이다. “명륜”이라는 이름은 “교육이란 모두 인간사회의 윤리를 밝히기 위한 것”이라는 『맹자(孟子)』의 한 구절에서 비롯되었다.

경주향교의 명륜당은 임진왜란 중에 소실되었고, 1614년 부윤 이안눌(1571-1637)이 중건한 이후로 18세기와 19세기에 중수를 거쳤다. 건물은 향교 강학 공간의 전형적인 형태이지만, 규모가 매우 크다. 기단과 초석에 사용된 석재의 가공이나 지붕과 공포에서 보이는 목재 가공 기술은 17세기 건축의 특징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