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나주 우남고택

HeritageWiki
이슬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0년 11월 12일 (목) 13:54 판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나주우남고택.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483601650000 나주 우남고택], 국...)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나주 우남고택
Unam House, Naju
나주 우남고택,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나주 우남고택
영문명칭 Unam House, Naju
한자 羅州 愚南古宅
주소 전남 나주시 다도면 풍산내촌길 3-8 (풍산리)
지정번호 국가민속문화재 제165호
지정일 1984년 1월 14일
분류 유적건조물/주거생활/주거건축/가옥
시대 조선시대
수량/면적 4필지/2,141㎡
웹사이트 나주 우남고택,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우남 고택은 우남 홍범식이 살던 집이다. 우남 고택이 있는 도래 마을은 전통 한옥 마을로 식산을 배경으로 풍산 홍씨들이 모여서 산다. 마을 집들은 대부분 동쪽 감태봉을 등지고 서쪽의 넓은 평야를 향하고 있는데, 우남 고택도 서향 건물이다.

고택 입구에 초가지붕으로 된 문간채가 있으며, 안쪽으로 기와지붕으로 된 사랑채와 안채가 앞뒤로 일직선상에 놓이듯이 배열되어 있다. 안채의 왼쪽에 아래채가 있어, 트인 ㄷ자형의 배치를 이룬다.

사랑채는 1790년에 지었는데 헛첨차*를 끼워 양 끝에 소로*를 놓고 장여*를 받쳐 상당히 멋을 부렸다. 안채는 1905년에 처음 지었으나 2001년 화재로 모두 타 버려서 2005년에 다시 지었다. 안채의 대청마루 뒤쪽으로 폭이 넓은 마루를 설치하였는데 뒷마당으로 연결된다. 이는 작업 장소로 사용하기 편한 구조로 안채의 살림 기능을 강조한 구성으로 독특한 평면 형식을 취하고 있다. 문간채는 안채와 비슷한 시기인 1930년을 전후하여 지은 것으로 추정한다.


  • 헛첨차: 주심포 건물의 기둥머리에서 창방과 십자로 짜여서 초제공을 받는 짧은 살미
  • 소로: 첨차와 첨차, 살미와 살미 사이에 놓여 상부 하중을 아래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것
  • 장여(長欐): 도리 밑에 받치는 길고 모가 진 부재

영문

영문 해설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