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군위향교

HeritageWiki
이슬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0년 8월 10일 (월) 15:12 판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군위향교.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3413701850000 군위향교], 국가문화유...)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군위향교
군위향교,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군위향교
한자 軍威鄕校
주소 경상북도 군위군 군위읍 동부리 629
지정번호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185호
지정일 1987년 5월 13일
분류 유적건조물/교육문화/교육기관/향교
수량/면적 6동
웹사이트 군위향교,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향교는 공자와 여러 성현께 제사를 지내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나라에서 세운 교육기관이다.

조선 태종 7년(1407)에 동부리 마정산에 처음 지었으나 임진왜란 때 불타 없어졌고 선조 40년(1607) 선방산 남쪽으로 자리를 옮겨지었다. 그리고 숙종 27년(1701)에 지금의 자리로 다시 옮겨 오늘에 이르고 있다. 건물의 배치는 제일 높은 곳에 제사를 지내는 대성전(大聖殿)을 두고 그 앞으로 공부하는 건물인 명륜당(明倫堂)을 중심으로 학생의 기숙사인 동재(東齋)와 서재(西齋)가 서로 마주하고, 명륜당과 마주 보는 앞쪽에 누각인 광풍루(光風樓)와 출입문이 동남향으로 자리하고 있다. 광풍루는 1926년에 건립했고, 서재는 한국전쟁 이후에 다시 지은 것이다. 대성전은 앞면 3칸 규모에 ㅅ자형 지붕을 가진 건물이다. 실내에는 공자를 비롯한 그 제자와 우리나라 성현 25분의 위패(位牌)*가 모셔져 있다. 명륜당은 앞면 6칸 규모에 가운데 4칸 대청을 두면서 좌우로 온돌방을 두었고 지붕 양측면을 가적지붕*으로 처리하여 지붕형태가 독특하다. 광풍루는 2층 규모로 2층부분은 바닥에만 마루를 깔아 누각(樓閣)*으로 사용하고 하부는 향교를 출입하는 문을 두었다.

유학을 공부하는 사람들의 학문연구, 전통문화체험장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매년 봄, 가을 2번 제사를 지내고 있다.


  • 위패(位牌) : 단(壇), 묘(廟), 원(院), 절 따위에 모시는 죽은 사람의 이름을 적은 나무패
  • 가적지붕: 건물 양측면으로 추가적으로 부착한 지붕
  • 누각(樓閣) : 사방을 바라볼 수 있도록 문과 벽이 없이 다락처럼 높이 지은 집

영문

영문 해설 내용

향교는 고려시대와 조선시대 지방에서 유학을 교육하기 위하여 설립된 국립교육기관이다. 덕행과 학문의 모범을 보인 성현에게 제사를 올리며, 유교의 경전과 역사, 시나 문장을 짓는 법을 가르쳤다.

군위향교는 1407년 처음 설립되었다. 임진왜란 때 소실되어 1607년 자리를 옮겨 다시 지어졌고, 1701년 지금의 자리로 다시 옮겨졌다.

현재 경내에는 입구부터 정문과 누각인 광풍루, 기숙사인 동‧서재, 강당인 명륜당, 내삼문, 사당인 대성전 등이 자리하고 있다.

대성전은 공간의 위계를 나타내기 위해 향교에서 가장 높은 곳에 지어졌으며, 안에 공자를 비롯한 성현 25분의 위패를 모시고 있다. 매년 봄과 가을에 제사를 지낸다.

명륜당의 지붕은 양쪽 끝에 눈썹 모양의 지붕을 덧댄 독특한 형태이다.

출입구 역할을 하는 광풍루는 1926년에 세운 것이고, 서재는 한국전쟁 이후 다시 지었다.


참고 자료